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한국 경제 ‘4대 천왕’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이들 기업은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글로벌 경제위기를 영토 확장의 기회로 만들면서 해외 사업의 비중을 많게는 90%대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1일 각 기업의 2009회계연도 재무제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본사 기준 매출은 89조 7728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국내 매출은 14조 9739억원으로 전체의 16.7%에 불과하다. 국내 매출 비중은 2007년 19.2%에서 2008년 18.6%로 하락세에 있다. 특히 지난해 삼성전자의 해외법인과 자회사 판매분까지 포함한 연결 기준 매출(136조 2900억원)로 따지면 국내 비중은 더 떨어진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실제 삼성전자 매출 중 국내 비중은 10%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바꿔 말하면 삼성전자는 전체 수입의 90% 가까이를 해외 시장에서 벌어들인다는 뜻이다.
LG전자 역시 지난해 본사 기준 매출 30조 5134억원 중 국내 매출은 8조 5153억원으로 전체의 27.9% 선이다. 2년 전 31.6%에서 3.7% 포인트 떨어졌다. 연결 기준 매출 55조 5241억원 중 실제 국내 비중은 10% 후반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의 지난해 국내법인 내수 매출은 16조 670억원, 수출은 15조 7923억원이다. 여기에 해외법인의 생산분까지 포함한 현대차의 지난해 총매출은 53조 2882억원으로 국내 법인의 내수 매출 비중은 30%선에 그친다. 이와 관련해 금속노조와 현대차노조는 국내 근로자들의 고용 불안을 막기 위해 국내외 생산 비율을 일정 정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사측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생산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정몽구 현대기아자동차그룹 회장도 지난 19일 “올해 국내시장은 어렵겠지만 해외시장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고 말해 현대차의 해외 의존도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2008년 전체 제품 판매량 3120만t 가운데 28.8%만 수출했던 포스코는 지난해 2840만t, 전체 매출 26조 9540억원 중 35.3%를 수출하면서 수출 비중을 크게 높였다. 여기에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지에 대규모 일관 제철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어 해외시장 비중이 ‘4대 천왕’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3-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