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원화 가치가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두번째로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G20 회원국의 국제결제은행(BIS) 실질실효환율을 비교한 결과 원화는 지난 9월 현재 81.67로 기준치 100보다 낮은 상태다. 이는 원화가 18.33% 정도 평가 절상될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2005년을 기준으로 삼은 BIS의 실질실효환율은 각국의 물가 수준을 고려한 장기 균형 환율이다.
실질실효환율로 원화보다 더 저평가된 통화는 G20 중에서 영국 파운드화(81.23) 뿐이었다. 반면 브라질 헤알화는 148.16으로 가장 고평가됐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중국 위안화도 124.58과 119.65로 통화 가치가 높게 매겨졌다. 중국은 BIS 실질실효환율을 위안화 절상의 압력을 완화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반면 미국은 피터슨경제연구소가 이를 가공한 수치를 통해 위안화의 절상 여지가 많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실질실효환율은 기준 시점과 계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자국의 이해관계에 맞춰 환율 공방의 논거로 삼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G20 회원국의 국제결제은행(BIS) 실질실효환율을 비교한 결과 원화는 지난 9월 현재 81.67로 기준치 100보다 낮은 상태다. 이는 원화가 18.33% 정도 평가 절상될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2005년을 기준으로 삼은 BIS의 실질실효환율은 각국의 물가 수준을 고려한 장기 균형 환율이다.
실질실효환율로 원화보다 더 저평가된 통화는 G20 중에서 영국 파운드화(81.23) 뿐이었다. 반면 브라질 헤알화는 148.16으로 가장 고평가됐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중국 위안화도 124.58과 119.65로 통화 가치가 높게 매겨졌다. 중국은 BIS 실질실효환율을 위안화 절상의 압력을 완화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반면 미국은 피터슨경제연구소가 이를 가공한 수치를 통해 위안화의 절상 여지가 많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실질실효환율은 기준 시점과 계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자국의 이해관계에 맞춰 환율 공방의 논거로 삼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11-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