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인터넷 윤리 수준 현저히 낮아”

“10대 인터넷 윤리 수준 현저히 낮아”

입력 2012-02-21 00:00
수정 2012-02-21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ISA, 2011년 인터넷윤리문화 실태조사 결과 발표

나이가 어릴수록 허위 정보를 유포하거나 사이버폭력에 가담하는 등 10대의 인터넷 윤리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지난해 11~12월 초등학생과 만 12-59세 내국인 및 국내거주 외국인 등 3천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터넷에서 허위정보 유포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인터넷 이용자가 57.7%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청소년의 73.8%가 허위사실을 퍼뜨린 경험이 있다고 답해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 69.3%, 30대 52.5%, 40대 47.2%, 50대 45.5%로 허위정보 유포 경험자의 비율은 연령대가 어릴수록 높았다.

허위정보 유포 경험자들이 허위정보를 유포하는 이유(복수응답 허용)로는 내국인 56.1%, 외국인 49.6%가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서’라고 답했다.

초등학생들은 69.2%가 ‘재미나 호기심 때문에’ 허위정보를 퍼뜨렸다고 답했으며,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도 50.8%로 상당 수였다.

사이버 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도 10대가 각각 76%와 75.8%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58.2%·63.7%), 30대(40.3%·58.8%), 40대(38.5%·51.7%), 50대(35.2%·49.2%) 순이었다.

가해 유형으로는 내·외국인과 초등학생 모두 욕설이나 모욕, 인신공격 등 사이버 모욕이 가장 많았으나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데도 블로그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속적으로 방문하는 사이버 스토킹, 명예훼손, 사이버 성폭력 등도 많았다.

피해 유형으로 초등학생은 욕설·비속어 등 사이버 모욕 피해자가 가장 많았으나 12~59세 내·외국인들은 원치 않는데도 메일이나 쪽지를 계속 보내는 사이버 스토킹 피해자가 가장 많았다.

최근 인터넷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된 이른바 ‘신상 털기’에 참여한 비율은 20대가 가장 높은 72%로 조사됐으며, 30대(70.9%)와 10대(66.1%), 40대(63.2%), 50대(57.8%)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68.5%로 여성(65.3%)보다 다소 많았다.

악성 댓글 작성 후 느끼는 기분으로는 ‘속이 후련하다’는 응답이 40.1%로 ‘후회된다’는 응답 39.8%와 별 차이가 없었다.

서종렬 KISA 원장은 “10대 청소년들이 인터넷에서 의견 표출에 더 즉각적이며 재미·호기심 때문에 허위정보를 유포하거나 ‘신상 털기’에 참여하는 등 인터넷 윤리 의식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KISA는 친근한 인터넷윤리 캐릭터를 활용해 저연령층의 눈높이에 맞는 인터넷 윤리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