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모든 스마트폰 요금제에 mVoip 허용

LG U+, 모든 스마트폰 요금제에 mVoip 허용

입력 2012-06-29 00:00
수정 2012-06-29 15: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금제 변경 없이 75분~3천840분 mVoip 이용 가능

LG 유플러스(U+)가 모든 스마트폰 요금제에 일정량의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허용하기로 했다.

LG U+는 다음달 1일부터 스마트폰 정액 요금제에서 일정 부분 데이터를 무료로 음성 통화에 이용할 수 있도록 mVoip를 허용하기로 하고 29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이용약관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LG U+는 각 요금제별로 30MB(75분 음성통화)~1.5GB(3천840분 음성통화)의 데이터를 mVoip로 허용하되, 기본 제공 용량을 다 사용하는 경우 mVoip를 자동 차단하기로 했다.

LTE 요금제의 경우 LTE34(기본료 3만4천원) 가입자는 30MB를, LTE42와 LTE52 요금제 가입자는 각각 50MB와 100MB의 mVoip 이용이 가능하다.

또 LTE62 가입자에게는 200MB, LTE72 가입자에게는 350MB가 mVoip용으로 제공되며 LTE120 가입자의 경우 1.5GB를 mVoip로 이용할 수 있다.

3G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스마트34/44/54/64 가입자는 각각 30MB/50MB/200MB/300MB를, 스마트74/94 가입자는 1GB의 mVoip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사용한도는 3G나 LTE 환경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와이파이존에서는 무제한으로 mVoip를 이용할 수 있다.

LG U+가 이 같은 방침을 정함에 따라 가입자들은 기존 가입 요금 외에 추가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도 카카오의 보이스톡을 비롯해 NHN 라인, 다음 마이피플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무료 mVoip 통화를 즐길 수 있게 됐다.

LG U+는 “mVoip 이용 데이터를 한정하기는 했지만 허용 규모가 커서 고객들은 사실상 무제한의 음성통화를 즐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LTE52 가입자는 월 250분의 기본제공 음성통화 외에 500분의 mVoip를 추가 요금 지불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LG U+는 음성 통화량이 많아 mVoip의 기본 제공량을 초과해 사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월 7천900원을 추가 지불하면 기본제공 데이터(최대 24GB) 모두를 mVoip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LG U+의 약관 신청으로 SK텔레콤, KT 등 경쟁 이통사들이 mVoip 관련 요금제 개선안을 내 놓을지 주목된다.

LG U+는 기존에는 mVoip를 전면차단했으며 SK텔레콤과 KT는 5만원대 이상의 요금제 가입자들에게만 180~3천MB의 mVoip를 허용했었다.

LG U+는 “망에 대한 트래픽 부하 문제, 음성 매출 하락 등의 이슈가 있지만 고객에 대한 편익과 혜택을 강화하고 LTE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기 우해 mVoip 서비스를 전격적으로 허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LG U+의 mVoip 요금제에 대해 누리꾼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일부 누리꾼은 “전면 허용이라고 하길래 무제한 mVoip인 줄 알았는데 사실상 SK텔레콤·KT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며 실망감을 내비친 반면 “정액제의 음성제공량도 다 못쓰는 사람들에게는 저 정도의 mVoip 한도도 충분하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