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연비 관리 강화…車업계 ‘긴장’

자동차 연비 관리 강화…車업계 ‘긴장’

입력 2012-11-20 00:00
수정 2012-11-20 1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공인 연비 측정 기준을 강화하고 측정 결과를 공개한다는 방침을 발표해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각 자동차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측정하는 연비의 공신력을 높이려 주행저항 시험을 도입하고 연비 오차 허용 범위를 기존 -5%에서 -3%로 축소하기로 했다.

또 양산 후 연비 측정 모델 수를 시판 모델 수 대비 10%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사후 측정률은 3~4%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연비 관리제도를 손질한 것은 현대·기아차 북미 연비 오류 사태로 국내 연비 측정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기아차 한 관계자는 “개선된 방안에 맞게 연비 측정과 관리를 성실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진 가운데 정부가 연비 관리 제도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완성차·수입차 업계 모두 부담감을 느끼는 분위기다.

국산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도가 바뀌면 모든 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특정 업체만 곤란한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연비에 사회적 관심이 쏠려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내년부터는 기존 연비보다 10~20%가량 낮아지는 새로운 복합 연비 제도가 전면 시행되는 터라 업계는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연비는 규정에 맞춰 정부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므로 각 브랜드가 고의로 더 높은 수치를 내놓기는 어렵다”며 “연비 제도 강화는 모든 업체에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연비가 공인 연비에 가까워지도록 업체의 자체 측정과 정부의 관리가 더 철저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공인 연비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앞으로 연비 측정 시 가혹 조건을 높이고 사후 연비 측정 차종을 늘리는 등 연비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