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주거실태 조사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토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과 한국갤럽,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3만 3000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2010년에는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가 전체의 10.6%인 184만 가구에 이르렀으나 지난해에는 7.2%인 128만 가구로 56만 가구가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수 감소는 주거의 질적 수준 개선을 의미한다.
최저주거기준은 국민의 주거생활 편의를 위해 가구 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방의 개수, 전용부엌·화장실 등의 기준을 정해놓은 것이다. 3인 가구를 기준으로 방 2개, 전용면적 36㎡ 이상으로 전용부엌·화장실·욕실 등을 갖춰야 한다.
또 가구당 평균 주거면적은 78.1㎡로 2년 전보다 8.5㎡ 넓어졌다. 1인당 주거면적은 31.7㎡로 2010년보다 3.2㎡ 증가했다.
그러나 자가점유율은 53.8%로 2010년 54.3%보다 0.5%포인트 감소했다.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은 2010년 46.9%에서 50.4%로 높아진 반면 중산층은 54%에서 51.8%로, 고소득층은 69.5%에서 64.6%로 각각 감소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5-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