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충전기, 모델 구별 없이 쓸 수 있게 표준화

노트북 충전기, 모델 구별 없이 쓸 수 있게 표준화

입력 2013-06-27 00:00
수정 2013-06-27 09: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표준화 추진과제 40개 발표…음식점 밥 한공기 양도 맞춰

노트북 충전기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를 골라 우선 표준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27일 40개 표준화 과제를 발굴해 내년까지 개선하는 ‘국민행복 표준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편안한 사회, 함께하는 사회, 풍요로운 사회 등 3가지 분야로 나눠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은 항목을 먼저 표준화한다는 것이다.

충간 소음을 방지하는 충격매트와 대체 보완품의 품질기준·시험 방법 표준화,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승차감 평가기준, 차량 내비게이션 안전 요구 사항, 자동차 블랙박스 품질기준 등이 편안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표준화 과제로 선정됐다.

다양한 노트북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충전기를 만들도록 노트북 충전기 호환 기준도 표준화 과제에 포함됐고 진공청소기 소음 최소화 기준, 에너지절감 건축 단열소재 기준 등 13가지 항목의 표준을 제정해 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표준화도 추진한다.

전동휠체어 배터리 호환기준, 시각장애인용 디지털 도서 요구 사항, 초보·고령 운전자 차량 표시 마크, 노약자·장애인용 화장실 비상벨 위치, 노인복지관 서비스 기준, 어린이 놀이기구 안전요구사항, 상조회 서비스 등 13개 항목을 표준화한다.

음식점 밥 한 공기 용량, 스키장 서비스 기준, 한국인의 체형을 고려한 의복 치수, 영화 상영 서비스 기준, 자동차 보험 서비스 기준, 기능성 의류 품질 기준, 자동차 정비 서비스 기준, 폐차 서비스 기준 등 풍요로운 사회 항목에서 14가지를 표준화한다.

기표원은 소비자와 사회복지단체가 참여하는 국민행복표준협의회(위원장 송보경)를 출범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국민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