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계가 쏟아지는 추석 배송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본사 사무직을 현장에 대거 투입하며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지난 9일부터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하루 평균 80여 명의 본사 직원들이 배송업무를 하고 있다.
주로 아파트 단지 등 물량이 많은 지역에 직접 차를 몰고 하루 50∼100여 개의 상자를 배달하거나 택배기사를 돕는다.
본사 지원은 추석 직전인 16일까지 잡혀 있지만, 올해 추석물량이 작년보다 10%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여 더 많은 인원이 지원나갈 가능성도 있다.
한진택배는 10∼12일 서울 소공동 소재 본사 직원 200여 명을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주요 물류센터에 파견한다.
소속 부서와 상관없이 출장이나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물류센터에서 택배를 분류하거나 택배기사와 차량에 같이 타 물건을 배달한다.
한진 관계자는 “이번 주부터 추석물량이 최고치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해 본사 직원도 배송업무를 한다”며 “일부 직원들은 5분 대기조로 편성해 물량이 갑작스럽게 증가한 지역에 긴급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택배도 주말인 지난 7일부터 15개의 물류센터 1곳당 30여 명씩 총 500여 명의 본사 직원을 지원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아르바이트생을 500여 명 고용했지만, 작년보다 물량이 증가한 탓에 여전히 일손이 부족하다.
올해는 경기불황으로 고향 방문을 포기하는 대신 선물을 보내는 이들이 많은 탓에 이전 추석보다 물량이 늘어 본사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
현대택배 관계자는 “고향 방문을 선물로 대체하는 경우가 늘어서인지 올해 추석 물량이 작년보다 두자릿수 늘 것 같다”며 “특히 3만∼5만 원대 중저가 선물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전했다.
사무직의 배송업무 지원은 물량이 집중되는 추석과 설 명절에 연례적으로 하는 일이다 보니 이에 얽힌 일화도 다양하다.
오랜만에 육체노동을 한 직원들이 다음날 파스를 몸 곳곳에 바르고 출근하는 것은 물론이며 갓 입사한 신입사원이 자기가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정장을 입고 현장에 나간 일도 있다.
파견 지역이 임의대로 정해지다 보니 강남이나 분당처럼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있어 물량이 많거나 서울 옥수동과 금호동 등 지대가 높아 차량 접근이 어려운 지역은 기피 대상 1호다.
업계 관계자는 “현장에 나가면 택배기사들의 노동강도를 실제 체감하고 이분들이 평소에 얼마나 고생하는지 알 수 있다”며 “택배기사들이 5분이면 배달할 것을 사무직은 20∼30분이 걸린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11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지난 9일부터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하루 평균 80여 명의 본사 직원들이 배송업무를 하고 있다.
주로 아파트 단지 등 물량이 많은 지역에 직접 차를 몰고 하루 50∼100여 개의 상자를 배달하거나 택배기사를 돕는다.
본사 지원은 추석 직전인 16일까지 잡혀 있지만, 올해 추석물량이 작년보다 10%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여 더 많은 인원이 지원나갈 가능성도 있다.
한진택배는 10∼12일 서울 소공동 소재 본사 직원 200여 명을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주요 물류센터에 파견한다.
소속 부서와 상관없이 출장이나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물류센터에서 택배를 분류하거나 택배기사와 차량에 같이 타 물건을 배달한다.
한진 관계자는 “이번 주부터 추석물량이 최고치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해 본사 직원도 배송업무를 한다”며 “일부 직원들은 5분 대기조로 편성해 물량이 갑작스럽게 증가한 지역에 긴급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택배도 주말인 지난 7일부터 15개의 물류센터 1곳당 30여 명씩 총 500여 명의 본사 직원을 지원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아르바이트생을 500여 명 고용했지만, 작년보다 물량이 증가한 탓에 여전히 일손이 부족하다.
올해는 경기불황으로 고향 방문을 포기하는 대신 선물을 보내는 이들이 많은 탓에 이전 추석보다 물량이 늘어 본사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
현대택배 관계자는 “고향 방문을 선물로 대체하는 경우가 늘어서인지 올해 추석 물량이 작년보다 두자릿수 늘 것 같다”며 “특히 3만∼5만 원대 중저가 선물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전했다.
사무직의 배송업무 지원은 물량이 집중되는 추석과 설 명절에 연례적으로 하는 일이다 보니 이에 얽힌 일화도 다양하다.
오랜만에 육체노동을 한 직원들이 다음날 파스를 몸 곳곳에 바르고 출근하는 것은 물론이며 갓 입사한 신입사원이 자기가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정장을 입고 현장에 나간 일도 있다.
파견 지역이 임의대로 정해지다 보니 강남이나 분당처럼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있어 물량이 많거나 서울 옥수동과 금호동 등 지대가 높아 차량 접근이 어려운 지역은 기피 대상 1호다.
업계 관계자는 “현장에 나가면 택배기사들의 노동강도를 실제 체감하고 이분들이 평소에 얼마나 고생하는지 알 수 있다”며 “택배기사들이 5분이면 배달할 것을 사무직은 20∼30분이 걸린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