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물질 다량 검출

장난감·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물질 다량 검출

입력 2014-05-01 00:00
수정 2014-05-01 15: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가기술표준원, 12개 제품 리콜명령

일부 장난감과 유아용품, 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은 1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나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과다 함유한 12개 제품에 대해 회수(리콜)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일부 장난감과 유아용품, 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돼 국가기술표준원이 1일 리콜(회수) 명령을 내린 12개 제품. 장난감 3개, 합성수지로 만든 유아용품 5개, 어린이용 장신구 4개로 이들 장난감의 플라스틱 부위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최대 68배 또는 납·카드뮴 등 중금속이 최대 136배 초과 검출됐다. 자세한 정보는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일부 장난감과 유아용품, 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돼 국가기술표준원이 1일 리콜(회수) 명령을 내린 12개 제품. 장난감 3개, 합성수지로 만든 유아용품 5개, 어린이용 장신구 4개로 이들 장난감의 플라스틱 부위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최대 68배 또는 납·카드뮴 등 중금속이 최대 136배 초과 검출됐다. 자세한 정보는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리콜 대상 제품은 장난감 3개, 합성수지로 만든 유아용품 5개, 어린이용 장신구 4개이다.

이들 장난감의 플라스틱 부위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최대 68 또는 납·카드뮴 등 중금속이 최대 136배 초과 검출됐다.

이 가소제는 환경호르몬인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다량 노출되면 간이나 신장 등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금속은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유아용 변기의 엉덩이 접촉 부위에서는 이들 유해물질이 기준치의 최대 176배를 넘었다. 유아용 턱받이와 욕실화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각각 최대 151배, 238배 초과 검출됐다. ·

어린이용 장신구인 머리핀, 유리반지, 금속반지에서도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됐다. 귀고리에서는 유해물질이 기준치의 최대 524배를 넘게 검출된 경우도 있었다.

리콜 명령을 받은 제조·수입·판매사업자는 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모두 거둬들이고 이미 팔린 제품은 교환이나 수리해줘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