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식당 라면 값 상승률 3.8%…38개 외식품목 중 최고

작년 식당 라면 값 상승률 3.8%…38개 외식품목 중 최고

입력 2015-02-18 09:33
수정 2015-02-18 09: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밥·피자·맥주도 3% 이상 올라…학교급식비는 6% 하락

작년 외식 품목 중에서 국민이 간식이나 식사 대용으로 자주 찾는 라면 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 물가 상승률은 1.4%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1.3%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38개 품목별로 보면 라면 값이 전년보다 3.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3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또 직장인들이 아침 식사로 많이 이용하는 김밥은 3.6% 올랐고 피자와 갈비탕 가격도 각각 3.2%와 3.0% 상승했다.

주점이나 식당에서 파는 맥주 가격도 3.0%의 오름세를 보였다

이들 품목 외에 김치찌개 백반(2.3%), 돼지갈비(2.0%), 냉면(2.4%), 짬뽕(2.3%), 떡볶이(2.6%) 등은 2%대의 상승세를 보였다.

된장찌개 백반(1.7%)과 비빔밥(1.5%), 설렁탕(1.7%), 자장면(1.3%), 볶음밥(1.8%) 등은 1%대의 오름세를 나타냈다.

해장국(0.7%), 돈가스(0.8%), 생선회(0.4%), 치킨(0.8%) 등은 0%대의 상승세를 기록했고 죽 값은 전년과 같았다.

38개 품목 중 유일하게 전년보다 가격이 내린 것은 학교급식비로 6.0%의 하락세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농산물 등의 가격 안정세로 외식 품목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았지만 일부 품목의 가격은 인건비, 영업점 임대료 등이 반영돼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