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이내 해지 평균 환급률 80% 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 펀드 수수료도 일반펀드 비해 싸

5년 이내 해지 평균 환급률 80% 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 펀드 수수료도 일반펀드 비해 싸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5-05-19 00:08
수정 2015-05-19 03: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금리·주식 활황에 인기몰이 변액보험 길라잡이

저금리에 주식시장 활황으로 ‘변액보험’이 인기몰이다.

하지만 변액보험을 단기간 가지고 있다가 계약을 해지하면 원금을 까먹을 가능성이 크다고 금융감독원이 주의를 당부했다. 변액보험은 보험과 펀드의 속성을 동시에 지닌 만큼 금융사가 주가 상승 기류에 편승해 수익률만 내세워 영업하면 자칫 불완전판매가 될 수도 있다. 계약자 스스로 가입 목적과 투자 성향을 잘 따져 골라야 한다.

금감원은 18일 ‘변액보험 소비자 불만 및 유의사항’ 자료를 통해 변액보험이 실적배당형 상품인 만큼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변액보험은 계약자가 낸 보험료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해 운용 실적에 따라 계약자에게 투자 성과를 나누어 주는 보험 상품이다. 보험료 전부가 아니라 사업비 등을 뺀 나머지 금액을 펀드에 투자한다. 따라서 판매 시 관련 설명이 미흡한 경우 계약자는 납입보험료 100%가 투자된다고 오인해 펀드수익률을 해지 시 수익률로 오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 보험사들은 초기에 사업비를 많이 떼므로 변액보험은 장기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실제 5년 이내에 해지하면 평균 손실률만 20%에 달한다. 변액보험 점유율 상위 10개사의 가입 후 5년 이내에 해지된 상품의 환급률은 79.3%였다.

변액보험은 크게 ▲저축형(변액유니버설) ▲보장형(변액종신·변액유니버설) ▲연금형(변액연금)으로 나뉜다. 장기적으로 자산을 불리기 위한 자금을 마련할 목적이라면 ‘저축형’, 사망·질병 대비 차원이라면 ‘보장형’, 노후 대비용 자금이 필요하다면 ‘연금형’이 적합하다.

변액보험은 펀드 수수료가 일반 펀드 수수료에 비해 싼 편이다. 또 10년 유지 시 투자로 거둔 이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있다. 각 사마다 펀드 수익률이 다르므로 어떤 회사를 고르냐에 따라 수익률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한 회사에서 운용하는 펀드는 여러 개인데 고객이 연 최소 4회까지 수수료를 내지 않고 펀드를 바꿀 수 있다. 수익률이 저조하거나 단일 또는 특정 유형 펀드에 집중해 있으면 수익률 변동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분산 투자가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5-1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