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글픈 금연?…소득하위 20%만 담배 소비지출액 감소

서글픈 금연?…소득하위 20%만 담배 소비지출액 감소

입력 2015-05-27 07:02
수정 2015-05-27 07: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올 1분기 가계동향 분석

올해 1월 담뱃세 인상으로 담배가격이 80%가량 오르면서 대부분 소득계층에서 담배 사는 데 쓴 돈이 늘어났지만 소득수준 하위 20%에 해당하는 계층에선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문제 등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담뱃값 인상 부담을 견디지 못한 저소득층이 어쩔 수 없이 생계형 금연을 하거나 흡연량을 줄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7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에 전국 2인 이상 가구가 담배를 사는 데 들인 월평균 명목 지출액은 1만7천855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6천184원)보다 10.3%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담배 소비지출액은 2012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분기별로 0.7~8.8%씩 감소하다가 이번에 담뱃값 인상의 영향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명목 담배 소비지출액을 소득 5분위별로 보면 하위 20%인 1분위만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담배 지출액은 1분위가 지난해 1분기 1만5천142원에서 올해 1분기 1만5천63원으로 0.5% 줄었다.

반면에 나머지 소득분위는 지출액이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가 1만3천296원에서 1만7천75원으로 28.4%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4분위가 13.4%(1만6천900→1만9천171원), 2분위가 8.5%(1만7천637→1만9천132원), 3분위가 4.9%(1만7천946→1만8천831원) 늘었다.

가격 상승분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도 저소득층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가팔랐다.

실질 담배 소비지출액이 전체적으로 37.8%(1만5천670→9천752원) 급감한 가운데 월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이 47.5%(1만5천543→8천160원)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100만원 미만 구간도 41.5% 줄었다.

반면에 600만원 이상 소득구간에서는 24.1% 감소에 그쳤다.

전반적인 담배소비 지출액이 증가한 가운데 담뱃값 인상을 고려한 실제 담배 소비량은 줄었다.

가장 많이 팔리는 담배 가격이 갑당 2천500원에서 4천500원으로 오르면서 소비량은 지난해 1분기의 월평균 6.47갑에서 올 1분기에는 3.97갑으로 떨어졌다.

KT&G의 최근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담배업계의 지난 1분기 국내 시장 담배 판매량은 126억600만 개비로 작년 같은 기간(194억1천900만 개비)보다 35.1% 감소했다.

판매량은 2000년 이후 2006~2008년을 제외하고는 감소세였다.

작년에만 담뱃값 인상이 예고된 데 따른 사재기 영향으로 전년보다 1.2%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