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일시적 경영 악화 기업 대상
신용보증기금(사옥 사진)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기업 가치 대비 신용도가 낮아 금융권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기업을 회생시켜 부실률을 낮추는 ‘기업 주치의’ 역할을 자처하고 나선 것이다.
신보는 내년까지 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경쟁력 향상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경쟁력 향상 프로그램은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일시적으로 경영이 악화된 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사전 진단, 추가 보증 지원, 채무상환 유예, 보증 비율 및 보증료 우대 등 맞춤형 금융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신보는 지난해 7월 이 프로그램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지금까지 경쟁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을 받은 기업은 총 110개다. 이 중 16개 기업이 72억원의 신규 보증을 추가로 지원받았다.
지난 1년간 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상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87억 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순이익은 1억 1400만원으로 10.7% 늘었다. 신규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은 고용(9.36%)도 크게 늘렸다.
신용도가 낮아 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 기간 동안 부실이 발생한 기업은 4곳뿐이다. 부실률은 3.3%로 동일 평가등급의 일반보증 부실률(9.37%)에 비해 3분의1 수준이다. 신보 관계자는 “기업 실정에 맞춘 금융·비금융 지원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부실을 줄일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신용도가 취약하더라도 기업 가치가 양호한 기업을 적극 발굴하고 제조업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업종 위주로 지원을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7-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