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만원짜리 이어폰, 56만원짜리 토끼 인형. 한 엔터테인먼트 업체가 운영하는 아이돌 상품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입니다. 아이돌을 활용한 ‘상징 소비’가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 소비층인 청소년들의 구매력은 부모로부터 나오는 까닭에 아이돌 상품이 새로운 ‘등골 브레이커’가 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얼마 전에는 ‘코르셋 재킷’이라는 선정적인 문구의 한 교복 광고가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이돌이 청소년에게 ‘먹히는’ 것은 ‘후광효과’로 설명됩니다. 후광효과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평가를 할 때 일부 특성이 전체 평가에 영향을 줘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못 하게 되는 일종의 사회적 지각 오류입니다. 아이돌이 착용한 상품은 마냥 좋아 보이는 후광효과가 작용하는 것입니다. 아이돌 콘텐츠가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청소년들이 지갑 여는 횟수는 더 잦아지고 있습니다.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코엑스에 전용 매장을 두고 있는 SM엔터테인먼트의 올해 상품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해 500억원을 넘어설 전망입니다. 전체 매출액의 15%가량을 차지합니다. YG엔터테인먼트는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영플라자 매장과 온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 사업을 하면서 자회사 등을 통해 아이돌 상품 제작·유통에도 관여하고 있습니다.
일본 야노경제연구소가 2014년 발간한 ‘쿨재팬 마켓/오타쿠시장의 철저분석’에 따르면 철도, 게임, 애니메이션 등 여타 오타쿠시장에 비해 아이돌 시장 소비자의 1인당 평균 구매금액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이돌 상품 소비자들은 소비 성향이 높고 자신의 취미를 알리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며 “이런 특성은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콘텐츠 산업 개발에 힘을 쏟는 유인이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반길 만한 일입니다. 다만 주 소비층이 청소년인 만큼 청소년 눈높이를 고려한 사업 모델을 구상해 보는 일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1-0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