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28억 달러서 2014년 552억 달러로...3차 산업으로 공략해야
지난해 중국이 신창타이(新常態·New Normal) 정책을 추진한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對中) 수출 감소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중국경제 변화에 따른 한-중 무역패턴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수년 간 증가세를 보이던 대중 무역수지가 2013년 628억 달러에서 2014년 552억 달러로 약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1월에서 9월 기간 중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353억 달러로 전년 동기 404억 달러에 비해 약 13% 감소했다. 무역수지 흑자 비율은 2013년 27.4%에서 2014년 23.4%로 감소했고, 올 1∼9월 기간 동안에는 약 20.9%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보고서는 중국의 ‘신창타이’ 정책 추진 후 한-중 간 주요 수출·수입 품목도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에서 9월 기간 중 대(對)중국 10대 수출 품목 중 전자응용기기와 석유제품의 수출 증가율은 각각 -65.8%, -35.7%를 기록하는 등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한편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품목인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 114.8%, 평판디스플레이·센서는 35.1% 증가했다. 또 중국으로부터의 10대 수입 품목 중에서도 반도체와 평판디스플레이·센서 품목의 수입은 각각 45.4%, 2.8% 증가했다. 반면 철강판은 수입 증가율이 -26.6%였다.
올 1~9월 한국의 대중국 10대 수출 품목의 증가율은 -3.8%인 반면 10대 수입 품목의 증가율은 1.6%으로 소폭 상승했다. 보고서는 “중국경제의 성장률 둔화와 자국 내 생산과 소비를 촉진시키는 신창타이 정책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 난항이 불가피하다”면서 “부품·소재 분야에서는 핵심부품과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 및 최종재 수출에 역점을 두고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3차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의료, 문화 등 서비스업 진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