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제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성장률 최대 0.6%P 하락”

“中 경제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성장률 최대 0.6%P 하락”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1-09 23:08
수정 2015-11-10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DI “항공·전기·전자 큰 영향”

중국의 성장률이 1% 포인트 떨어지면 우리 경제성장률은 최대 0.6% 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정부는 향후 5년간 경제성장률 마지노선을 6.5%로 못 박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7년 중국의 성장률이 6.2%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성태 연구위원과 정규철 연구위원은 9일 발표한 ‘최근 중국경제 불안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경기 부양 정책의 부작용으로 누적된 과잉 투자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중국 경기가 급락할 우려가 있다”며 중국 경기 둔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를 이같이 추정했다.

중국 성장률이 1% 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경제성장률은 직접적으로 0.2% 포인트 정도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중국 경기 악화로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 수출국, 선진국의 회복세마저 약화되면 우리 성장률은 추가로 0.2~0.4% 포인트 더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별로는 항공과 전기·전자기기, 기계, 화학 등의 산업에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0% 포인트 하락하고 중국 외 국가의 성장률이 0.2% 포인트 감소한다고 가정할 경우 항공산업의 부가가치는 1.38%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2.9%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올해 6.8%, 내년 6.5%, 내후년 6.2%까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3.0%에서 2.7%로 다시 내려 잡았다. 정부 전망치(3.1%)를 빼고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와 민간 기관 모두가 올해 우리 성장률을 2%대로 예상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6%에서 3.1%로 0.5% 포인트나 낮췄다. OECD는 9일 발표한 ‘주요 국가 경제전망’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과 수출 부진의 영향이 크다”며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최대 위험 요인으로는 가계부채를 꼽았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1-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