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부양책 기대감…中企 경기전망 5개월 만에 반등

경기부양책 기대감…中企 경기전망 5개월 만에 반등

입력 2016-02-28 10:27
수정 2016-02-28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계절적 비수기가 지나고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중소기업의 경기전망이 반등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15∼21일 3천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3월 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가 전달보다 10.8포인트 오른 89.2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SBHI는 경기를 전망한 업체의 응답 내용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보다 높으면 다음 달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가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중소기업 업황전망은 2월까지 넉 달 연속 하락하며 지난해 2월 조사 방식을 개편한 이후로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이달 들어 반등에 성공했다.

3월 전망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업황전망지수가 88.9로 전달보다 10.2포인트, 비제조업은 89.3으로 전달보다 11.1포인트 상승했다.

항목별로는 내수(79.0→88.6), 수출(75.7→84.4), 경상이익(76.2→84.4), 자금 사정(78.7→82.9) 전망은 좋아졌고 고용수준(96.9→95.8)은 전망은 다소 나빠졌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부문은 가죽가방·신발(69.6→97.8), 음료(84.1→110.6) 등 19개 업종의 전망이 밝아졌고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91.1→89.7) 등 3개 업종은 전달보다 전망이 나빠졌다.

비제조업의 경우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1.5→109.6)을 비롯해 모든 업종의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2월 중소기업의 업황을 나타내는 업황실적건강도지수(SBHI)는 전달보다 6.2포인트 떨어진 71.2로 나타났다.

경영이 어려운 이유(복수응답)로 내수부진(74.6%)과 업체 간 과당경쟁(48.1%)을 꼽은 업체들이 가장 많았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신학기 시작 등 계절적 요인과 정부 경기부양책의 기대감으로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