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공백 2년 삼성에선 무슨 일 있었나

이건희 회장 공백 2년 삼성에선 무슨 일 있었나

입력 2016-05-02 11:13
수정 2016-05-02 1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와병 중에도 삼성그룹에서는 계열사 간 인수·합병을 비롯해 매각 등 사업구조 재편 작업이 숨 가쁘게 진행됐다.

2일 삼성에 따르면 지난 2년여간 삼성은 화학·방산부문을 매각하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통합하는 등 비주력 사업은 정리하고 그룹의 구조를 전자, 금융을 양대 축으로 건설·중공업, 서비스 등으로 단순화했다.

그룹의 상징이었던 삼성생명 태평로 사옥을 매각하고 삼성전자 주요 부서를 강남에서 수원으로 이전하는 등 사옥 재배치도 이뤄졌다.

아래는 2014년 5월 이후 추진된 삼성그룹 주요 사업·사건 일지.

◇ 2014년

▲ 6월 3일 = 삼성에버랜드, 2015년 1분기 중 상장 발표

▲ 7월 4일 = 삼성에버랜드, 제일모직으로 사명 변경

▲ 8월 13일 = 제일기획, 삼성 남녀 농구단 인수 발표

▲ 9월 1일 =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 합병 발표

▲ 10월 27일 = 삼성중공업·삼성엔지어링 합병 주주총회 승인

▲ 11월 14일 = 삼성SDS, 유가증권시장 상장

▲ 11월 19일 =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 합병 무산

▲ 11월 26일 = 삼성테크윈·삼성탈레스·삼성종합화학·삼성토탈, 한화그룹에 매각 발표

▲ 12월 18일 = 제일모직,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5년

▲ 4월 30일 = 삼성종합화학·삼성토탈, 한화종합화학·한화토탈로 재출범

▲ 5월 7일 = 삼성전자, 평택에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생산라인 착공

▲ 5월 15일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문화재단 이사장 선임

▲ 5월 26일 =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결의

▲ 6월 1일 = 제일기획, 삼성 배구단 인수

▲ 6월 23일 = 이재용 부회장, 메르스 사태 관련 대국민 사과

▲ 6월 26일 = 삼성전기,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모터 사업중단 결정

▲ 7월 14일 = 삼성전기, 파워·튜너와 전자가격표시기(ESL) 등 일부 모듈사업 분사 결정

▲ 7월 17일 =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주총 승인

▲ 8월 28일 = 삼성SDI, 삼성정밀화학 전지소재사업 양수 및 삼성BP화학 지분 양도

▲ 9월 7일 = 삼성SDS, 계열사 에스원의 자회사 시큐아이 지분 취득

▲ 11월 29일 = 삼성전자 11조3천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후 소각 계획 발표

▲ 10월 30일 = 롯데그룹에 삼성정밀화학·삼성BP화학 및 삼성SDI 케미칼 부문 분할 매각

▲ 11월 30일 = 삼성전자 서울 R&D 캠퍼스 개소…연구개발·디자인 인력 5천여명 입주

▲ 12월 9일 = 삼성전자 ‘전장사업팀’ 신설

▲ 12월 21일 = 삼성바이오로직스 세계 최대 바이오 공장 착공

◇ 2016년

▲ 1월 1일 = 제일기획 프로야구단 삼성 라이온즈 인수

▲ 1월 8일 = 삼성생명, 태평로 사옥 매각

▲ 2월 17일 = 제일기획, 매각설 관련 “주요 주주가 글로벌 에이전시와 다각적 협력 논의” 공시

▲ 2월 25일 = 이재용 부회장, 순환출자 해소 위해 2천억원 규모 삼성물산 주식과 302억원 규모 삼성엔지니어링 자사주 취득

▲ 2월 29일 = 삼성정밀화학, 롯데정밀화학으로 공식 출범

▲ 3월 18일 = 삼성전자 경영지원 조직 서초사옥에서 수원디지털시티로 이전

▲ 3월 24일 = 삼성전자 조직문화 혁신 위한 ‘컬처혁신’ 선포

▲ 4월 29일 = 삼성SDI에서 분사한 SDI케미칼, 롯데첨단소재로 출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