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헌주 산업부 기자
하지만 삼성SDS 소액주주들은 분이 풀리지 않는 모양입니다. 회사에 대한 신뢰가 깨졌다는 것입니다. 상당수 소액주주들은 삼성SDS 상장(2014년 11월 14일) 전부터 주식을 보유했던 이들입니다. 삼성 출신 직원과 가족들도 꽤 있다고 합니다. 소액주주 대표도 20년간 삼성전자에서 근무했던 분입니다. 이들이 화가 난 것은 회사가 두 달 전만 해도 물류 사업 분할설에 대해 극구 부인했다는 것입니다.
지난 4월 27일 삼성SDS 본사에서는 소액주주 6명과 재무팀장, 법무팀장, IR팀장 등 6명이 자리를 가졌습니다. 전날 사내에서 물류 사업이 삼성물산으로 합병되는 등 회사가 공중분해된다는 소문이 돌자 소액주주들이 사실 확인차 본사를 방문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회사는 공식 부인했습니다. ‘찌라시’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 7일 삼성SDS는 이사회를 열고 물류 사업 분할 검토를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찌라시에 나온 시나리오를 일부 시인한 것입니다. 회사를 믿었던 소액주주 입장에서는 배신감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삼성SDS는 처음부터 물적 분할 대신 삼성물산과의 합병을 전제로 한 인적 분할을 고려하고 있었다”면서 “삼성의 전략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소액주주들은 참다못해 14일 본사를 세 번째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정유성 대표와의 면담도 요구했습니다. 정정당당하게 소액주주를 만나 회사가 그리는 청사진을 공개하라는 것입니다. 과연 물류 사업을 떼내고도 2020년 매출 20조원 비전은 달성 가능한 것인지, 또 다른 신성장동력이 있는 것인지 묻겠다고 합니다.
한 소액주주는 “삼성SNS와의 합병 때 매출이 10대1에 불과한데 1대0.46의 비율로 합병하면서 주주 가치가 희석됐다”면서 “또 지배구조 개편을 위해 주주에게 희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어느 증권사 보고서의 제목처럼 주주는 인질이 아닙니다. 주주를 진정 배려한다면 성의 있는 답변부터 나와야 할 것입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6-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