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1100m에서도 빵빵 터지는 LGU+

해발 1100m에서도 빵빵 터지는 LGU+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6-26 22:36
수정 2016-06-26 2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지에 태양광 LTE 기지국 설치…날씨 상관없이 통화·데이터 원활

“방문객들이 길을 못 찾아도 통신이 안 돼 발을 동동 구르는 일이 많았어요.” 지난 24일 찾은 강원 평창군 대관령 하늘목장에서 목장 관계자가 전한 말이다. 하루 종일 비가 내린 날 해발 1000m가 넘는 산지에 도착해 트랙터 마차를 타고 산 깊숙이 들어가니 스마트폰의 데이터 신호가 약해지기 시작해 몇 초 만에 뚝 끊겼다. 그러나 LG유플러스 가입자의 스마트폰에서는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 속도가 도심에서와 다르지 않았다. 인터넷 검색은 물론 동영상 재생도 가능한 수준이었다.

이미지 확대
LG유플러스 직원들이 강원 평창군 대관령 하늘목장에 태양광 LTE 기지국을 개통한 뒤 통신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직원들이 강원 평창군 대관령 하늘목장에 태양광 LTE 기지국을 개통한 뒤 통신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우리나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는 인구 기준으로는 99.9%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국토 면적으로는 80% 정도다. 여전히 산간이나 도서 등 오지에는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곳이 남아 있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산간 및 도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태양광 LTE 기지국을 개발해 최근 대관령과 충남 오서산, 계룡산 등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좁은 산길을 따라 들어간 해발 1100m의 나무숲 사이에서 모습을 드러낸 태양광 LTE 기지국은 면적이 2㎡ 정도였다. 기지국 운영에 필요한 전기를 태양광발전으로 자체 생산하기 때문에 전기나 광케이블로 연결할 필요가 없고 원격 관제 및 제어 기능도 갖춰 산악 지역이나 외딴섬에도 설치할 수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비 오는 날에도 평소의 3분의1 수준의 전력을 생산하고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할 수 있어 날씨에 상관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LG유플러스 측은 덧붙였다.

태양광 LTE 기지국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은 LG전자의 ‘네온2’로, 발전 효율이 19.2%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LG유플러스의 기지국 저전력 설계 기술과 LG화학의 ESS 기술 등 LG 계열사의 에너지 관련 기술을 총망라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안에 전국 20여곳에 기지국을 추가로 개통하는 등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 NW전략담당 허비또 상무는 “기복 없는 LTE 네트워크 품질과 새로운 5G(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평창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6-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