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수도권은 줄고 지방은 늘고’

미분양주택 ‘수도권은 줄고 지방은 늘고’

입력 2016-06-27 11:13
수정 2016-06-27 1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업 구조조정’ 울산·경남서 많이 증가

지난달 수도권 미분양주택이 6% 넘게 감소한 가운데 지방 미분양주택은 1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분양주택이 수도권에서는 줄고 지방에서는 증가하는 모습은 지난 3월 이후 계속되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전국 미분양주택은 5만5천456가구로 전월인 4월보다 3.1%(1천640가구)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미분양주택이 2만887가구로 전월보다 6.5%(1천458가구) 줄었다. 반면 지방 미분양주택은 3만4천569가구로 9.8%(3천98가구) 증가했다.

지방에서는 조선업 등 지역 중심산업이 침체한 울산과 경남에서 미분양주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미분양주택이 울산은 1천609가구로 전월보다 171.3%(1천16가구), 경남은 5천403가구로 28.0%(1천182가구) 불어났다.

광주와 전북도 각각 1천49가구와 2천374가구로 29.2%(237가구)와 22.1%(429가구) 미분양주택이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전국 1만837가구로 전월에 견줘 3.0%(312가구) 늘어났다.

준공 후 미분양주택도 수도권은 6천646가구로 1.7%(115가구) 줄었지만, 지방은 4천191가구로 11.3%(427가구) 뛰었다.

주택공급량으로 볼 수 있는 분양(승인)물량과 인허가물량은 작년과 비교해서 감소했다.

지난달 분양물량은 5만604가구로 작년 5월보다 14.5%(8천595가구) 줄었다.

월 분양물량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은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분양물량이 작년보다 19.3%(6천44가구) 감소한 2만5천274가구, 지방이 9.1%(2천551가구) 적은 2만5천330가구였다.

지난달 주택인허가물량은 5만2천713가구로 작년보다 7.3%(4천148가구) 줄었다.

월 인허가물량이 작년에 견줘 준 것은 2014년 12월 이후 17개월 만이다.

단, 지역별로 나눠보면 수도권 인허가물량이 2천222가구로 29.7%(8천526가구) 감소했지만, 지난달 미분양주택이 많이 증가한 지방은 3만2천491가구로 15.6%(4천378가구)로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별 인허가물량은 아파트가 3만3천435가구로 12.8%(4천900가구) 감소했으며 아파트 외 주택이 1만9천278가구로 4.1%(752가구) 증가했다.

지난달 주택착공물량은 5만3천383가구로 작년보다 2.7% 줄었다.

수도권은 2만6천436가구로 13.2%(1천471가구) 감소했고 지방은 2만6천947가구로 10.4%(2천538가구) 늘었다.

아파트는 3만4천673가구, 아파트 외 주택은 1만7천710가구 착공돼 작년보다 각각 3.9%(1천411가구)와 0.3%(60가구) 감소했다.

지난달 주택준공물량은 3만6천785가구로 작년보다 32.5%(9천22가구) 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만1천300가구로 77.4%(9천294가구) 증가, 지방이 1만5천485가구로 1.7%(272가구) 줄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