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보증공사는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3단지 주택재건축사업 주택분양보증 신청 건에 대한 심사결과 이를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보증공사는 승인하지 않은 이유로 인근 시세와 최근 분양한 아파트값과 비교, 지나치게 비싸 분양보증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사에 따르면 개포주공3단지 주택재건축사업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신청한 3.3㎡당 분양가는 4310만원으로 지난달 기준 강남구 3.3㎡당 평균 분양가격(3804만원) 대비 13% 높고, 3개월 전 분양한 인근의 개포주공2단지 3.3㎡당 분양가(3762만원) 보다 14% 비싸다. 공사는 인근 아파트 분양가 대비 10%를 초과하면 고분양가로 판단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1년 전 대비 6월말 현재 약 7% 올랐고, 강남구 아파트값은 1년 전보다 82% 상승했다. 개포주공3단지는 1년 전 강남구 평당 분양가 대비 107% 상승했다.
공사는 “고분양가가 다른 사업장으로 확산될 경우 보증리스크가 증가될 수 있어 분양보증을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다만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분양가를 책정해 다시 신청하면 보증발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보증공사는 승인하지 않은 이유로 인근 시세와 최근 분양한 아파트값과 비교, 지나치게 비싸 분양보증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사에 따르면 개포주공3단지 주택재건축사업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신청한 3.3㎡당 분양가는 4310만원으로 지난달 기준 강남구 3.3㎡당 평균 분양가격(3804만원) 대비 13% 높고, 3개월 전 분양한 인근의 개포주공2단지 3.3㎡당 분양가(3762만원) 보다 14% 비싸다. 공사는 인근 아파트 분양가 대비 10%를 초과하면 고분양가로 판단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1년 전 대비 6월말 현재 약 7% 올랐고, 강남구 아파트값은 1년 전보다 82% 상승했다. 개포주공3단지는 1년 전 강남구 평당 분양가 대비 107% 상승했다.
공사는 “고분양가가 다른 사업장으로 확산될 경우 보증리스크가 증가될 수 있어 분양보증을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다만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분양가를 책정해 다시 신청하면 보증발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