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세 이하 신용카드 연체율 5%대…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아

25세 이하 신용카드 연체율 5%대…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아

입력 2017-01-22 12:07
수정 2017-01-22 1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용카드 연체율 높은 대학생·사회초년생 신용교육 강화

25세 이하 청년층의 신용카드 연체율이 5%대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초년생, 대학생, 저소득층 등 신용 하락 위험이 큰 그룹을 선별해 신용관리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노후대비 교육 프로그램과 맞춤형 상담 기능도 강화한다.

금융위원회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수요자 맞춤형 금융교육 추진방안’을 밝혔다.

정부는 우선 미소금융, 햇살론, 바꿔드림론 같은 정책금융상품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재무관리 교육을 확대한다. 지금은 미소금융 이용자 일부만 교육을 받고 있다.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에게는 올바른 신용카드 사용에 대한 온·오프라인 교육을 하기로 했다.

학자금대출 이외의 다른 대출도 받은 25세 전후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이 6% 내외로 증가하는 등 20대는 채무 연체율이 높아 신용도가 떨어질 위험도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현금서비스·카드론 과다 사용과 대출금을 연체했을 때 위험성, 신용 하락을 방지하는 방안 위주로 교육 과정이 짜인다.

학자금 대출 연체로 채무조정을 신청한 대학생에게는 채무 조정제도와 신용관리 교육을 할 예정이다.

노후대비 교육도 강화한다.

전국에 50개 있는 노후행복설계센터를 통해 노후대비 교육 프로그램과 맞춤형 상담 기능을 활성화한다.

통합연금포털의 연금가입 정보를 활용해 노후자산 진단과 재무설계 지원도 할 계획이다.

2018년부터 반영되는 고교 교육과정에는 금융콘텐츠를 확대한다.

통합사회 과목에서 생애 금융설계, 자산관리 원칙 등을 배우고 수학 과목에선 연금·이자율·할인율 등을 배우게 된다.

정부는 국·영·수 등 다른 교과목과 금융교육의 연계를 확대하거나 독립 교과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애인, 다문화가족, 새터민 등 취약계층이 볼 수 있는 맞춤형 금융교육 교재도 꾸준히 개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금융교육협의회’를 법제화해 금융교육의 컨트롤타워로 만드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은 “장기적으로 금융소비자와 금융시장의 성숙을 이끄는 것은 금융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4·19혁명 65주년 국민문화제 참석… 민주주의 정신 계승 다짐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구3)이 지난 18일 강북구 광산사거리 특설무대에서 열린 ‘4·19혁명국민문화제 2025’ 전야제에 참석해 4·19혁명의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고, 그 가치를 되새겼다. 올해로 13회를 맞은 이번 4·19혁명국민문화제는 ‘민주주의의 봄, 다시 피어나다’라는 주제로 12일부터 19일까지 강북구 일대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4·19혁명 65주년을 맞아 세대를 넘어 민주주의 정신을 계승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이날 전야제는 오후 7시부터 광산사거리 특설무대에서 ‘락(樂)뮤직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열렸다. 현장에는 에이핑크, 손태진, 존박, 박미경, 송소희, 딕펑스 등 국내 인기 가수들이 무대에 올라 4·19혁명의 정신을 기념하며 축하공연을 펼쳤다. 행사장에는 다양한 세대의 시민들이 모여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고 음악을 통해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 의원은 이날 현장에서 “4·19혁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이자 역사적 이정표”라며 “시민들이 세대와 계층을 넘어 이 자리에 함께해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다시 확인하는 모습을 보며 깊은 감동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4·19혁명 65주년 국민문화제 참석… 민주주의 정신 계승 다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