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시공 라오스 수력발전댐은…서부발전 등과 컨소시엄 사업

SK건설 시공 라오스 수력발전댐은…서부발전 등과 컨소시엄 사업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25 10:45
수정 2018-07-25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라오스 남동부 아타프주에 건설 중인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댐의 물이 채워진 모습(위)과 담수 전 모습(아래). 2018.7.24  세피안-세남노이 전력회사·SK건설 홈페이지
라오스 남동부 아타프주에 건설 중인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댐의 물이 채워진 모습(위)과 담수 전 모습(아래). 2018.7.24
세피안-세남노이 전력회사·SK건설 홈페이지
지난 24일 집중호우로 붕괴(유실) 사고가 발생한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댐은 SK건설과 서부발전 등이 컨소시엄으로 진행 중인 사업이다.

2012년 SK건설과 한국서부발전, 태국 RATCH, 라오스 LHSE 등 4개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수주했으며, 현재 PNPC라는 합작법인을 만들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수주 당시 국내기업이 라오스·태국 지역에서 최초로 성공시킨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이자, 민간기업과 공기업이 해외사업 개발-건설-운영 전 단계에 공동 참여한 사업으로 주목받았다.

SK건설과 서부발전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2005년부터 라오스 정부와 접촉하며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의 지분은 시공사인 SK건설이 26%로 가장 많고 한국서부발전과 태국 RATCH가 각각 25%, 라오스 LHSE가 24%를 보유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10억달러 규모이며, 이 가운데 공사비는 7억1천600만달러 정도다. 라오스 수력발전소는 크게 세피안, 세남노이 등 본 댐 2개와 5개의 보조댐으로 이뤄져 있다. 발전용량은 410MW로 국내 최대인 충주댐과 맞먹는 규모다.

이 댐이 준공되면 최대 690m에 달하는 낙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해 생산 전력의 90%를 태국에 판매하고, 10%는 라오스 내수용으로 사용하기로 예정돼 있다.

이번에 붕괴 사고가 발생한 곳은 세남노이 본 댐을 둘러싸고 있는 보조댐 가운데 하나다.

세남노이 댐은 높이가 74m, 너비가 1.6km, 담수량이 10억t으로 함께 짓고 있는 세피안, 후웨이막찬 등 다른 댐보다 규모가 월등히 크다.

SK건설은 가뭄 등에 대비하기 위해 당초 공사 기간보다 4개월 앞당긴 지난해 4월 이 댐을 준공하고 담수를 시작했다.

이렇게 공기를 단축한 공로로 발주처로부터 감사의 표시로 2천만달러를 보너스로 받기도 했다.

현재 댐 전체 공정률은 92.5%에 이르며 내년 2월 상업운전을 앞두고 있었다.

시공을 맡은 SK건설이 내년 2월 발전소를 준공하면 서부발전이 27년간 발전 운영을 맡는다.

두 회사는 27년 동안 연간 약 1억4천만달러로 추산되는 전력 판매 수익에 따른 배당 수익도 기대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댐 시공 전체를 SK건설이 맡는 만큼 시공상 하자로 나타날 경우 국가 신인도 하락은 물론 국내 건설사의 해외 댐 공사 수주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또 시공사 귀책 여부에 따라 SK건설에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