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월성원전 3호기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달 21일 원자로 냉각재 펌프 1대가 갑자기 멈추며 가동 중이던 월성 3호기가 자동으로 정지했다. 이후 다른 냉각재 펌프를 수동으로 정지하는 과정에서 제동장치 과열로 연기와 불꽃이 발생하기도 했다.
원안위는 “월성 3호기가 자동정지한 이유는 1번 펌프의 ‘서지 커패시터’ 손상에 따라 전원공급이 차단됐기 때문”이라며 “서지 커패시터 손상은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결함이 운전 중 확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지 커패시터는 순간적인 과전압에서 전동기를 보호하는 장치다.
지난 2015년 9월 고리 4호기 냉각재 펌프 정지사건 이후 한국수력원자력은 이 서지 커패시터를 제거해야 했지만, 한수원은 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원안위는 월성 3호기 재가동 뒤 화재감시 설비 중장기 개선사항 후속 조치를 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16일에는 한빛원전 2호기(가압경수로형·95만㎾급)가 발전을 재개했다.
한빛원전 2호기는 지난달 24일 발전소 가동 과정 중 발전기 부하탈락시험을 실시한 뒤 발전소를 안정화하는 과정에서 증기발생기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아져 원자로가 자동 정지됐다.
부하탈락 시험은 발전기가 전력계통에서 분리될 때 발전기와 부속설비 등의 운전자료를 수집하는 시험이다.
한빛원자력본부는 원자로 정지 관련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증기발생기 수위 관리 대책을 강화해 재가동에 들어갔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