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송금·결제 시장 2년새 6배 ‘껑충’

간편송금·결제 시장 2년새 6배 ‘껑충’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03-26 16:30
수정 2019-03-26 16: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0대 이상은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미미

이미지 확대
QR페이 방식의 카카오페이로 카페에서 결제하는 모습.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QR페이 방식의 카카오페이로 카페에서 결제하는 모습.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현금이나 신용카드 없이 스마트폰을 통해 결제를 하거나 돈을 부치는 간편송금·결제 서비스의 일평균 이용금액이 2년 사이 6.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6일 발간한 ‘2018년도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일평균 간편송금·결제 이용금액은 2016년 311억원에서 지난해 2075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모바일뱅킹 일평균 이용금액은 3조 1266억원에서 5조 2490억원으로 늘었다.

간편결제는 신용·체크 카드를 모바일기기에 미리 저장해 놓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 인증 등을 통해 결제하는 서비스다. 간편송금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미리 충전해 놓은 선불금을 받는 사람의 전화번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아이디를 활용해 송금하는 서비스다.

한은이 성인 남녀 259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6명(63.5%)은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했다고 응답했다. 이 비율은 2017년 48.3%에서 15.2%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모바일뱅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50대는 33.5%에서 51.8%로 크게 늘었다. 간편송금·결제, 앱카드 등 모바일지급서비스를 이용한 30대는 50.6%에서 78.2%로 급증했다.

그러나 60대 이상 고령층에서는 모바일뱅킹·지급서비스 이용 경험 비율이 각각 13.1%, 6.7%로 나타나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서비스의 모바일화 진전으로 고령층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제한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처음 이용한 배경으로는 가격 할인·포인트 적립 등 ‘경제적 혜택’이, 계속 이용하는 이유로는 ‘서비스의 편리성’이 꼽혔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