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 연체율 작년 12월말 0.21%…“코로나 금융지원 착시효과 감안해야”

은행 대출 연체율 작년 12월말 0.21%…“코로나 금융지원 착시효과 감안해야”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2-02-24 15:02
수정 2022-02-24 15: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석 달 만에 또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2020년 4월부터 유지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처 등에 따른 착시 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0.21%로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말보다 0.04%포인트 낮고, 2020년 12월보다 0.06%포인트 하락해 역대 최저 수준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종전 ‘역대 최저’ 연체율은 지난해 9월의 0.24%다.

지난해 12월의 신규연체 발생액은 9000억원으로 전월(9000억원)과 비슷했고, 연체채권 정리규모(1조 7000억원)는 전월(7000억원)보다 1조원이 늘었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2018년 5월(0.62%) 이후 하락하는 추세다. 은행은 분기 말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하고 있어 연체율은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에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대출 부문별 연체율도 대체로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26%로 한달 만에 0.05%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대출(0.24%)의 연체율은 전달과 비슷했다. 중소기업대출(0.27%)의 연체율은 0.06%포인트 내려갔다.

중소기업대출 중 중소법인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의 연체율은 각각 0.36%와 0.16%로 나타났다. 한달 전보다 각각 0.08%포인트와 0.04%포인트가 하락한 수치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로 전월 말보다 0.03%포인트 낮아졌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이 전월 말보다 0.01%포인트 하락한 0.10%를 기록했다. 나머지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07%포인트 낮은 0.29%로 나타났다.



하준경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연체율이 현재 낮게 나타나는 것은 만기연장, 상환유예 조치를 감안해서 봐야 한다”면서 “코로나 상황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유예 조치를 해제하면 연체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지적했다. 하 교수는 “다만 실제 이것이 부실화로 나타나느냐의 여부는 향후 경제 흐름에 달렸다”면서 “경제가 회복하는 흐름에서 갚을 수 있는 여력이 생긴 다음 유예조치가 조정되면 연착륙하는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