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서울, SK쉴더스로부터 시리즈A 투자 유치

아치서울, SK쉴더스로부터 시리즈A 투자 유치

입력 2025-01-07 15:54
수정 2025-01-08 09: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사진=아치서울 제공)
(사진=아치서울 제공)


주식회사 아치서울이 최근 SK쉴더스로부터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1월 6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SK쉴더스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물리 및 정보 보안 기업으로, ADT캡스를 운영하며 보안 관제, 출입 통제, 영상 보안 등 통합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물리적 보안 솔루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데이터 보호, 큐싱 등 사이버 위협 대응 정보 보안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갖춰 다양한 산업군에서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며,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아치서울은 보안 QR 오더 솔루션인 ‘핸드오더’의 운영사로, 최근 사회적으로 큐싱으로 인한 범죄 및 개인정보 탈취 등 보안 문제가 심각한 위협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러한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보안 QR 솔루션을 자체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디지털 QR을 통해 링크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식별해 안전한 링크를 제공하고 외부 링크 유출을 막아준다. 특히 최근 큐알오더가 늘어나면서, 외부 악성 주문 등의 위험이 있는 외식업, 프랜차이즈, 호텔 컨시어지 등에서 링크 유출 위험으로 보안이 취약한 기존 종이 QR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다.

아치서울은 이번 투자를 통해 디지털 보안 QR 솔루션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디지털 보안 QR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보안 QR 솔루션의 상용화와 디지털 보안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