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불안에 내수 침체까지 겹치며 경기가 둔화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고소득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마저 9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8일 한국은행이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대출 시 직접 작성한 사업소득 기준으로 상위 30%에 속하는 고소득 자영업자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 연체율은 1.35%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 1분기(1.71%)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2023년 4분기 0.98%에서 지난해 1분기 1.16%로 올라선 후 줄곧 1%를 웃돌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가 작용하던 2020~2021년에도 연체율이 0.5%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인 상승세로 그 만큼 경기가 나빠 자영업자들이 어렵다는 얘기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체 자영업자 차주의 46.9%(146만 7000명)를 차지하는 이들의 대출 부실이 확대된다면 전체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고소득 자영업자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 잔액은 737조원에 달했다.
연체율 상승 이유로는 금융긴축 지속, 서비스업 경기 부진 등이 꼽혔다.
중소득 자영업자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 연체율도 3.04%로 2015년 1분기(4.76%)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대출 연체율이 1.68%로 2014년 2분기(1.83%)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저신용자 수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