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2월 가계대출이 증가했지만 이는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등 정책보다는 신학기 이사 수요 때문이라는 분석이 금융당국에서 나왔다. 금융당국은 하지만 규제 완화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가계대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은행이 가계대출 자율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및 5대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2월중 다소 증가했지만 현재로서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움직임 등을 고려할 때 3월 이후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올해 안정적인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서는 금융권 스스로가 3월 시장 상황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 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권 처장은 은행에 거듭 독자적인 조치를 주문했다. 그는 “실수요자 전반에 대한 자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용의 묘’를 살린 금융회사 스스로의 자율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또 필요한 상황”으로 “일선 창구와 현장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을 보다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관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참석자들은 대출금리가 인하되는 가운데 신학기 이사수요와 연초 영업재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2월에는 가계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봤다. 다만 연초 신규 취급된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2월 마지막 주를 정점으로 3월 들어 축소됐고, 증감 양상도 지역간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2월 가계대출 증가는 신학기 이사수요가 주된 요인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러면서도 서울의 경우 규제 완화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서울, 수도권 주택시장 전반으로 확산돼 가계대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당분간은 주택담보대출 신청 및 신규 취급 추이 등을 세분화해 면밀히 모니터링 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은행들은 올해 경영계획에 따라 대출 운용에 있어 시기별 쏠림이 없도록 월별·분기별 목표를 세워 관리하고 있다며 최근 가격이 단기 급등한 서울시 일부 지역의 주택 관련 대출을 취급할 경우 향후 리스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고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급적 실수요자 중심으로 자금을 공급하면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되지 않도록 즉시 조치할 계획”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