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순이익 23.8조 역대 최대
4대 지주 1분기 순익 4.9조 전망
새 정부 이후 상생 압박 커질 듯

지난해 국내 10대 금융지주사 순이익이 24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정권 교체기에 금융권을 향한 상생 압박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16일 국내 금융지주사 10곳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8% 증가한 23조 847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KB, 신한, 하나, 우리, NH, iM, BNK, JB, 한국투자, 메리츠 등 10개 금융지주로 이들의 자회사까지 모두 더하면 회사 수는 총 335개다. 지난해 27개사가 새로 편입되고 21개사가 정리돼 전년 말 대비 6개사가 증가했다.
권역별 이익(개별 순이익 기준) 비중은 은행이 59.8%(16조 3000억원)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보험 14.3%(3조 9000억원), 금융투자(증권, 자산운용 포함) 11.7%(3조 2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 등(카드·캐피탈·저축은행 포함) 9.4%(2조 6000억원) 순이었다.
은행은 전년 대비 9628억원(6.3%), 보험은 5516억원(16.5%), 금융투자는 4225억원(15.2%) 이익이 증가했다. 반면 여전사 등은 이익이 1591억원(-5.8%) 줄었다.
지난해 말 기준 금융지주 연결 총자산은 3754조 8000억원으로 전년 말에 비해 6.3%(224조원) 증가했다.
기록적 행진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총 4조 8858억원이다. 지난해 1분기(4조 2915억원) 대비 13.8% 오른 수준이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연간 총 17조 6197억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거두면서 올해 다시 한번 사상 최대 실적을 새로 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기 대선이 이뤄지는 가운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까지 확산하면서 업계에선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금융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할 것이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시중은행장들을 만나고 최근엔 김광수 전 은행연합회장을 싱크탱크인 금융분과 위원장으로 앉히면서 일각에선 상생금융 확대 요청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도 지난 9일 은행장들을 만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을 강조한 바 있다. 금융사에 대한 비판적 여론도 부담이다. 최근 대규모 내부통제 실패 사례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금융업계를 향한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2025-04-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