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라면 5.1% 올라, 식당선 3.9%↑
김밥 한 줄 3623원… 1년 새 7.8%↑
“빈곤층 타격… 가격 인상 자제해야”

‘라면+참치김밥 세트 1만 2000원.’(서울의 한 분식집 메뉴판)
간단하게 끼니를 때울 때 찾는 ‘라면에 김밥 한 줄’ 가격이 1만원을 훌쩍 넘겼다. 음식점에서 파는 라면 한 그릇은 평균 5000원, 김밥 한 줄은 4000원에 육박한다. 편의점에서 파는 봉지라면 1개 값은 대부분 1000원을 넘어섰다. ‘라면·맛김’ 등 K푸드 열풍에 편승해 업체들이 국내 판매 제품 가격까지 연쇄 인상에 나선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8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가공식품 라면 값은 지난달 5.1% 급등했다. 농심이 라면 출고가를 지난 3월 17일부터 평균 7.2%, 오뚜기가 4월 1일부터 평균 7.5%씩 인상한 결과다. 편의점 기준으로 신라면·진라면은 1000원, 너구리는 1150원, 짜파게티는 1300원으로 올랐다. 1000원 미만 봉지라면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음식점에서 파는 라면 값도 지난달 3.9% 올랐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지역 평균 가격은 4500원 선이다.
최근 가격이 급등한 ‘검은 반도체’ 김을 재료로 한 김밥 가격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서울 지역 김밥 한 줄 평균 가격은 지난달 3623원으로 조사됐다. 1년 새 7.8% 올랐다.
라면과 김밥은 K푸드 열풍을 이끄는 ‘투톱’이다. 지난 2월 라면 수출액이 전년 대비 30.4% 증가한 1억 2115만 달러(1668억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 K푸드 수요가 급증하면서 현지 판매 가격도 올랐다. 미국 뉴욕 한인마트의 신라면 가격은 2022년 이후 25% 이상 상승했다. 덩달아 내수 제품도 7%대로 인상됐다. 농심과 오뚜기는 가격 인상 배경으로 ‘원가 상승’과 ‘고환율’을 꼽았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K푸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자 가격을 올려도 판매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면서 “라면과 김밥은 1인 가구와 독거 노인 등 빈곤 계층의 식사 대용 음식인 만큼 국내 소비자 가격 인상은 최대한 자제해 서민 식생활을 책임지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5-05-2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