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업 생산지수 전월보다 0.8%↓

지난 22일 오후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수출 차량이 세워져 있다. 뉴시스
4월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모두 감소하며 3개월 만에 ‘트리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장벽이 산업활동 지표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는 113.5(2020년=100)로 전월보다 0.8% 하락했다. 공공행정,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각 부문에서 모두 생산이 줄며 3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광공업 생산은 0.9% 감소했으며 이 가운데 제조업은 자동차(-4.2%), 반도체(-2.9%) 등을 중심으로 0.9% 줄었다.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 11월(-6.6%) 이후 5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발효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완공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서 국내 생산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자동차는 기타 친환경차나 특수목적용 등 완성차 중심으로 감소했다”며 “3월부터 조지아 공장이 본격 가동되고 관세 영향도 반영돼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각종 내수 관련 지표도 일제히 하락했다. 서비스 소비를 나타내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줄었고,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9%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0.4% 줄며 2개월 연속 감소했고, 건설업 생산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 역시 0.7% 하락했다.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모두 감소했지만, 3~4개월 지표 평균을 반영하는 경기종합지수는 상승세를 보였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이 심의관은 “4월 주요 지표는 관세 영향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소비심리 회복 지연이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설업 부진 등으로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