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주택 12년만에 최대…주택 공급 3대 지표 다 꺾였다

‘악성 미분양’ 주택 12년만에 최대…주택 공급 3대 지표 다 꺾였다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5-05-30 10:55
수정 2025-05-30 1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토부 ‘4월 주택통계’ 발표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 서울 성동구 달맞이공원에서 바라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26일 서울 성동구 달맞이공원에서 바라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다 지은 후에도 팔리지 않는 이른바 ‘악성 미분양’ 주택이 11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주택 공급 부족으로 집값 불안 우려가 커지는 반면 지방에서는 미분양 주택이 계속 쌓이며 주택시장 불균형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6422가구로 전월보다 5.2%(1305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8월(2만 6453가구) 이후 11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이 같은 ‘악성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20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악성 미분양의 83%(2만 1897가구)는 지방에서 나왔다. 지역별로 대구(3776가구)가 가장 많았고, 경북(3308가구), 경남(3176가구), 부산(2462가구) 등 순으로 나타났다. 4월에 새로 생긴 악성 미분양의 대부분도 대구(524가구)와 경북(593가구)에서 발생했다.

반면 일반 미분양 주택은 4월 기준 6만 7793가구로, 전월보다 1.6% 줄었다. 올해 1월 7만 2624가구 수준이던 미분양 주택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4월 수도권 미분양(1만 5905가구)은 전월보다 3.8%, 지방(5만 1888가구)은 1.0%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데오역 인근 부동산에 매매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데오역 인근 부동산에 매매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주택 공급의 ‘3대 지표’인 인허가, 착공, 준공은 모두 위축세를 보였다. 4월 주택 인허가는 2만 4026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6% 줄었다. 특히 수도권(-5.8%)보다 지방 인허가(-38.5%)가 훨씬 큰 폭으로 감소했다.

4월 착공은 2만 5044가구로, 전월 대비 81.8% 증가했으나, 1~4월 누계(5만 9065가구)로 보면 작년 동기 대비 33.8% 줄었다. 같은 기간 분양도 2만 214가구로 전월보다 133.8% 증가했으나 1~4월 누계(4만 1685가구)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1.0% 줄었다.

4월 준공(입주)은 3만 5107가구로, 전월 대비 34.4% 늘었지만, 1~4월 누계(13만 9139가구)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9.8% 줄었다. 이 기간 아파트(12만 9354가구) 준공은 7.1%, 비아파트(9785가구) 준공은 34.3%씩 각각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는 6만 5421건으로 전월보다 2.7% 감소했다. 서울의 경우 4월 1만 2017가구가 거래돼 3월(1만 2854가구)보다 6.5% 줄었으나 1월(5307건)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많았다. 4월 주택 거래 중 아파트 거래는 8029건으로, 전월보다 14.1% 감소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1월 3000건대, 2월 4000건대에 머물렀지만 2월 정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로 3월에 9349건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같은 달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다시 확대 지정한 뒤 4월 8000건대로 꺾였다.

4월 전월세 거래는 22만 8531건으로, 전월 대비 4.4%, 작년 같은 기간 대비 6.9% 각각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1~4월 누계 기준 60.4%로, 작년보다 2.4%포인트 높아졌다. 전국의 비아파트 기준 월세 거래 비중은 74.8%까지 올랐으며, 이중 지방은 81.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