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 시내 한 약국에 폐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5.25. 연합뉴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해 부실대출 위험에 빠진 한계 기업과 가계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가계와 자영업자 대출 부실 지표는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지난달 말 기준 전체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 평균값(이하 단순평균)은 0.49%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말(0.44%)보다 0.05% 포인트 오른 수치로, 지난해 말(0.35%) 대비 0.14%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대출 주체별 연체율을 보면 가계 0.36%, 대기업 0.18%, 중소기업 0.71%, 전체 기업 0.60%로 지난해 말보다 각각 0.07% 포인트, 0.17% 포인트, 0.22% 포인트, 0.20% 포인트 올랐다. 경기 침체로 중소기업의 상환 여력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 부진에 가장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개인사업자 대출의 부실 징후는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다. 5대 은행의 개입사업자 대출 연체율만 봤을 때, 지난달 말 평균 0.67%로 한 달 만에 0.06% 포인트, 지난해 말(0.48%)보다 0.19% 포인트 올랐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아직 지난달 집계가 이뤄지지 않은 우리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지난달 말 전체 원화 대출 대비 NPL 비율은 평균 0.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0.33%) 이후 올해만 0.12% 포인트 치솟은 것이다. 대출 주체별로는 중소기업(0.49%·0.65%)의 NPL 상승 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개인사업자·기업 대출의 부실 지표가 이같이 치솟은 건 약 9~11년 만이다. 4대 시중은행의 내부 시계열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가계·개인사업자·중소기업 연체율과 NPL 비율은 2014년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