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운전 시작 2017년 영구 정지500조원 원전 해체 시장 진출 기대

부산 연합뉴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6일 국내 최초의 상업용 대형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 안건을 승인했다. 사진은 이날 부산 기장군 고리 1호기 전경. ‘고리원자력본부 제1발전소’라는 문구가 쓰여 있는 곳이 터빈, 뒤로 보이는 돔형 건물이 원자로다.
부산 연합뉴스
부산 연합뉴스
국내 최초의 상업용 대형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가 최종 결정됐다. 1972년 건설 허가를 받은 지 53년, 2017년 영구 정지된 지 8년 만이다. 국내에서 대형 원전이 해체되는 것은 처음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 1호기 해체 경험을 발판 삼아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6일 서울 중구 원안위에서 본회의를 열고 “최종 해체 계획서 등 신청 서류를 심의한 결과 고리 1호기 해체가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기술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확인해 해체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운전을 시작, 산업화 시대가 요구했던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했다. 2007년 설계 수명이 만료됐지만 10년 더 운영했고 2017년 작동을 멈췄다. 원자력안전법에 따르면 사업자(한수원)는 영구 정지한 날부터 5년 안에 해체 승인을 신청해야 한다. 한수원은 2021년 5월 원안위에 해체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전문 인력 599명을 육성하고 58개의 해체 상용화 기술을 확보했다.

해체 작업은 2차 오염을 막기 위해 오염 정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 순서로 진행된다. 2031년 비(非) 방사선구역(터빈 건물) 철거, 2035년 오염 구역(원자로 건물)이 철거된다. 2037년까지 부지 복원이 완료된다. 현재 ‘사용 후 핵연료’는 습식 저장시설의 특수 밀폐용기에 밀봉된 채 보관되고 있다. 2030년에는 새로 만들어지는 건식 저장시설로 옮겨진다.
원안위는 해체 사업비와 폐기물 처리비 등 총 1조 713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수원은 원전 해체 비용으로 9647억원을 적립해 뒀다.
한수원이 원전 해체 경험을 쌓는다면 해외시장 진출도 노려 볼 수 있다. 현재 22개국에서 215기의 원전이 영구 정지된 상태다. 2050년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50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유승훈 한국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원전 해체는 매우 높은 안전성과 고난도의 제염 기술 등을 요구한다”며 “해체 능력이 검증되면 차기 ‘블루오션’인 원전 해체 시장 진출에 유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