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슨 공청기 퓨어핫앤쿨, 차별점은 센서

다이슨 공청기 퓨어핫앤쿨, 차별점은 센서

입력 2018-12-23 15:47
수정 2018-12-23 15: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세먼지 극심했던 지난주 써보니

다이슨이 지난달 국내에 출시한 공기청정기 ‘퓨어핫앤쿨’이 가진 차별점은 민감한 센서에 있었다. 미세먼지가 극심했던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제품을 사용해 봤다.

1㎥ 당 미세먼지가 100㎍이 넘었던 지난 22일, 모든 창문을 닫은 상태였음에도 실내 초미세먼지(2.5㎛ 이하) 농도는 40㎍/㎥을 넘나들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기준에 따르면 초미세먼지 농도는 26㎍/㎥을 넘으면 ‘나쁨’에 해당한다. 제품을 켜자 액정표시장치(LCD)에 표시된 그래프가 위로 솟구쳤다. 자동모드로 사용하니 기기가 출력을 거의 최대치로 올려 소음이 컸지만, 한 시간 안에 82㎡형 아파트 거실 초미세먼지 농도가 20㎍/㎥ 이하로 떨어졌다.
제품은 미세먼지와 유해가스(휘발성 유기화합물·이산화질소), 온도·습도를 각각 감지하는 세 개의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각 센서가 측정한 수치는 실시간으로 제품 앞면에 있는 LCD에 나타난다. 전용앱을 설치하고 제품과 동기화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실내 공기질을 확인하고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발코니로 통하는 창문을 열기만 해도 센서는 미세먼지 농도 상승을 감지하고 기기 출력을 올렸다. 프라이팬으로 구이나 볶음 요리를 할 때도 공기질은 급격히 나빠진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화장품을 쓰거나 세탁물이 걸린 빨래 건조대를 거실로 들여 놓으면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농도가 올라가는 게 확인됐다.

다이슨 퓨어핫앤쿨엔 H13-A 등급의 헤파필터와 활성탄 필터가 적용됐다. 회전 모드는 350도까지 선택이 가능하며 초당 최대 290리터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는 게 업체 설명이다. 선풍기·온풍기 기능을 같이 갖고 있지만 디퓨즈 모드를 사용하면 강한 바람 없이 공기청정 기능만 쓸 수도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