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쓰지 말라’ 미 국무부 저격에 당혹스런 LG유플

‘화웨이 쓰지 말라’ 미 국무부 저격에 당혹스런 LG유플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7-23 19:32
수정 2020-07-23 19: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콕 집어서 LG유플러스 언급한 미 국무부 차관보

이미지 확대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LG유플러스가 곤혹스러운 상황에 빠졌다. 미국 국무부가 LG유플러스에 대해 중국 화웨이 장비를 쓰지 말라고 공개 압박을 했기 때문이다.

23일 외신 등에 따르면 버트 스트레이어 미국 국무부 사이버·국제통신정보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화상 브리핑에서 “우리는 LG유플러스 같은 기업들에 믿을 수 없는 공급업체에서 믿을 수 있는 업체로 옮기라고 촉구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어 부차관보의 이번 발언은 LG가 화웨이 장비 사용을 중단하면 미국으로부터 인센티브를 받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우리는 아마도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한 어떤 경제적 인센티브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심각한 안보 사안으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스트레이어 차관보의 이번 언급은 지난 14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홈페이지 성명을 통해 한 발언과 맥을 같이 한다. 당시 폼페이오 장관은 화웨이 장비를 쓰지 않는 SK텔레콤과 KT를 ‘깨끗한 통신사’로 거명하며 다른 기업들도 화웨이 제품을 쓰지 않을 것을 촉구했다. 미국은 보안 문제를 이유로 5세대(5G) 이동통신망 구축에서 화웨이를 배제하라고 각국을 꾸준히 압박해왔다.
영국에 이어 프랑스 정부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장비의 면허 갱신을 거부하겠다고 자국 통신사에 통보한 것으로 22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사진은 화웨이 로고. AFP 연합뉴스
영국에 이어 프랑스 정부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장비의 면허 갱신을 거부하겠다고 자국 통신사에 통보한 것으로 22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사진은 화웨이 로고. AFP 연합뉴스
당사자인 LG유플러스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국가간의 문제에 성급하게 반응했다가 파장이 클 수 있기에 침묵을 지키는 것이다.

억울하다는 내부 분위기도 있다. 무선 통신 장비로 화웨이 제품을 쓰긴 하지만 보안과 직결된 부분에는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SK텔레콤이나 KT도 유선 통신 장비에서는 일부 화웨이 제품을 쓰고 있는데 LG유플러스만 ‘맹폭’을 맞으니 당황스럽단 반응도 있다.

이에 관해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이날 “정부는 5G보안협의회를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기종 선정은 통신사업자가 여러 가지를 고려해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