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로 드러난 ‘KT 먹통사태’
연합뉴스
구현모 KT 대표가 28일 서울 종로구 KT혜화타워(혜화전화국) 앞에서 지난 25일 발생한 KT의 유·무선 인터넷 장애와 관련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을 분석한 결과 먹통 사태는 지난 25일 낮 KT부산국사에서 기업망 라우터(네트워크 통신 경로설정)를 교체하던 과정에서 발생했다. 당초 KT에서는 협력업체가 교체 작업을 이튿날(26일) 오전 1~6시에 진행하도록 승인했지만 계획이 바뀌어 낮 시간에 진행된 것이다. 그 결과 25일 오전 11시 16분쯤부터 네트워크 장애가 시작돼 낮 12시 45분까지 89분간 서비스가 먹통이 됐다. 만약 야간에 교체 작업을 진행했다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을 수 있지만 그러지 않아 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의 업무가 가장 바쁜 월요일 낮부터 점심시간까지 ‘통신 암흑’이 이어진 것이다. KT의 유·무선 서비스는 가입자는 약 2700만명(모바일 이용자 1750만명+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940만명)에 달한다.
연합뉴스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이 29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25일 발생한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게다가 KT는 전국 통신망이 갑자기 먹통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라우팅 장비 교체 작업을 KT측 작업 관리자 없이 협력업체 직원들끼리만 수행하도록 했다. 최성준 과기부 네트워크정책과장은 ”KT 관리자에게 확인한 결과 다른 업무가 있어서 자리를 비웠다고 했다”고 말했다. 협력업체 직원이 교체 장비의 ‘라우팅’(네트워크 경로 설정)을 하다가 명령어 중 ‘엑시트’(exit)라는 단어 하나를 빼먹은 것 관련해서 홍 정책관은 “스크립트 작성은 KT와 협력업체가 같이 한 것으로 이해하며, 검토는 KT가 1·2차를 진행했으나 그 부분을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지적했다.
KT 로고
서울 연합뉴스
지난 25일 KT 인터넷 장애로 인터넷 연결이 끊어진 모바일과 PC화면.
서울 연합뉴스
서울 연합뉴스
연합뉴스
구현모 KT 대표가 28일 서울 종로구 KT혜화타워(혜화전화국) 앞에서 지난 25일 발생한 KT의 유·무선 인터넷 장애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와 관련해 KT새노조는 성명을 내고 “통신사업자로서 기본에 충실하기 보다는 단기 수익 위주의 사업과 경영진 치적 포장용 사업에만 집중하다 벌어진 통신 기본 소홀에서 비롯된 장애”라며 “내부에선 구현모 사장이 AI 기업으로 KT를 포장하기 급급했고, 통신망 운영의 기본에 충실하지 못한 데서 발생한 예견된 참사라는 비판이 거세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