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온스타일이 패션, 리빙, 뷰티 카테고리를 이끌어갈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시즌2를 이달 공개했다. 사진 왼쪽부터 방송일 순으로 매주 월요일 밤 9시 ‘겟잇뷰티 with 유인나’, 화요일 밤 9시 ‘한예슬의 오늘 뭐 입지’, 수요일 밤 9시 ‘안재현의 잠시 실내합니다’ 포스터. CJ온스타일 제공
CJ온스타일이 지난해 모바일 앱 대대적 개편과 동시에 초대형 라이브쇼 IP 론칭, 숏츠 탭 신설 등 ‘영상 커머스’ 확장을 본격화했다. 특히 트렌디한 고관여 상품, 콘텐츠 중심의 취향 큐레이션 라방 확장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CJ온스타일이 지난해를 ‘모바일 확장의 원년’으로 삼으며 가장 방점을 찍은 프로젝트가 지난해 8월 론칭한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다. 대표 프로그램으로 ‘한예슬의 오늘 뭐 입지’, ‘안재현의 잠시 실내합니다’ 등이 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모바일 라방 한 회당(방송 중 기준) 순 거래액 1000만원 이상을 기록한 CJ온스타일 방송은 전체 방송의 45%로, 라방 업계 전체(13%)보다 약 세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J ENM 커머스부문의 지난해 매출은 1조 4514억원, 영업이익은 83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비 각각 8.5%, 20.1% 증가한 수치다. 특히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대비 96%, 2022년 대비 132% 상승하며 모바일과 TV를 넘나드는 영상 커머스 플랫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됐다.
CJ온스타일은 올해 모바일 라방과 TV를 오가는 영상 콘텐츠 IP 유니버스를 구축해 커머스 혁신을 이루겠다는 목표다. 모바일과 TV 영상 콘텐츠 IP를 50개까지 늘리고 숏폼과 미드폼 등 콘텐츠 포맷을 다양화해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외부 동영상 플랫폼으로 IP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TV 간판 프로그램이 모바일 앱 또는 외부 채널로 스핀오프(spin-off) 하거나, 모바일 인기 프로그램이 팬덤을 확보하고 TV로 역진출하는 식의 확장을 가속화한다.
올해 IP 육성의 핵심은 CJ온스타일의 주력 상품군인 패션, 리빙, 뷰티 카테고리다. 카테고리별 IP를 집중 육성해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세일즈 역량도 제고하겠다는 복안이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30년간 쌓아 올린 압도적 영상 콘텐츠 제작 경쟁력과 상품 소싱력을 기반으로 올해 IP 유니버스 확장을 가속화하며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