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부문이 모듈보다 많아… 현대모비스 영업이익의 비밀

AS부문이 모듈보다 많아… 현대모비스 영업이익의 비밀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6-07-13 21:22
수정 2016-07-13 2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기아차에 파는 모듈보다 일반인 대상 AS 영업익 증가세…두 배 비싼 순정부품 팔기 때문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현대모비스의 올해 1분기 매출은 9조 3395억원, 영업이익은 7184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7.7%다. 일반 제조업체들과 별반 다를 게 없다. 하지만 부문별로 비교해보면 눈에 띄게 다른 점이 발견된다.

현대모비스 매출은 주로 현대기아차 쪽으로 부품을 파는 모듈사업 부문과 일반 소비자들에게 부품을 파는 애프터서비스(AS) 부품 부문으로 나뉜다. 매출 비중은 모듈 부문(7조 6770억원)이 AS 부문(1조 6625억원)보다 5배 가까이 많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거꾸로 모듈(3458억원) 쪽보다 AS(3726억원) 부문이 더 많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AS 쪽이 22.4%로 모듈(4.5%) 쪽보다 5배가 높다. 일반소비자들을 상대로 차 부품 값을 더 비싸게 받고 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시중 공업사에서는 소비자들이 별도로 비순정품을 달라고 요구하지 않으면 값이 두 배 이상 비싼 현대모비스의 순정품(純正品)만 팔기 때문이다.

아반떼XD에 들어가는 앞바퀴용 브레이크 패드는 현대차 협력업체 상신이 현대모비스에 납품해 판매되는 순정품 값은 4만 2130원인 반면 이 회사가 만들었지만 현대모비스 브랜드가 붙지 않는 비순정품은 1만 7000원이다. NF소나타에 들어가는 엔진오일도 순정품은 1만 8700원인 반면 카포스가 자체 조달하는 비순정품은 1만원이다. 에어컨 필터·배터리·전조등 등 다른 부품도 마찬가지다. 순정품은 소비자기본법상 ‘자동차가 단종된 뒤 8년간 부품공급’ 규정을 준수해야 하는데다 산간벽지나 도서지역까지 공급해야 하고 별도 인증 관리를 거친다는 점을 감안해도 가격 차이가 너무 크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기능면에서도 순정품과 비순정품의 차이는 크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대림대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원가는 적게 들면서 기술로 승부를 보는 바이오나 게임 등의 분야라면 몰라도 하청업체가 만든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제품을 일반 소비자에게 팔면서 영업이익률이 20% 이상 나오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지적했다. 현대모비스 부품의 90%가량이 OEM 제품이다. 현대모비스 측은 “AS 부문 매출은 해외에서 많이 나오는데 해외 AS 부품가격이 국내보다 높아 AS 부문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6-07-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