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취등록·자동차세·보험료 안 내… ‘신차 렌터카’ 개인 장기고객 급증
작년 시장규모 4조… 5년새 2배10년 된 LF쏘나타 차주였던 윤모(36)씨는 최근 HG그랜저로 차를 바꿨다. 당초 할부로 차를 살까 했지만 장기 렌터카로 방향을 틀었다. ‘허’ 번호판이 걸렸지만 취등록세와 계약 기간(3년) 동안 보험료와 자동차세를 안 내도 된다는 장점에 끌려서다. 덕분에 윤씨는 최초 취등록세 240만원과 연 220여만원의 자동차세와 보험료를 아낄 수 있어 만족하고 있다.

경기 침체 덕에 렌터카 시장은 거꾸로 ‘나 홀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새 차를 선뜻 사기가 부담 되는 사람들이 렌터카 업체를 통해 신차를 구매하는 ‘장기 렌터카’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서다.
국내 렌터카 시장 점유율 1위인 롯데렌터카(법인명 롯데렌탈)는 16일 올 상반기에 매출 7447억원, 영업이익 575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로는 매출은 22.9%가, 영업이익은 76.3%가 각각 증가했다. 개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차 장기 렌터카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덕이다. 롯데렌터카의 1년 이상 장기 렌터카 고객 중 개인 비중(누적대수 기준)은 2009년 4.5%에서 올 6월에는 29.8%까지 높아졌다. 법인 고객이 7명이라면 개인 고객도 3명까지 늘어난 셈이다. 장기 렌터카 개인 고객은 최근 5년 반 사이 해마다 평균 60.1%(전년 대비)씩 성장했다. 2011년 4000명에 불과하던 개인 장기 렌터 고객이 올해는 4만 6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전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2011년 2조 4780억원이었던 국내 렌터카 시장 규모는 지난해 4조 4867억원으로 5년 만에 2배 가까이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개인 장기 렌터가 고객은 젊은층, 회사원, 은퇴자 등 연령에 관계없이 다양하다”고 말했다.
●전기차 시장 성장도 렌터카업계 호재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는 것도 호재다. 전기차는 일반 자동차에 비해 잔가(일정 기간 운행 후 보장되는 중고차 가격) 가치가 불안정해 신차 구매보다 렌터카 구매를 고려하는 고객이 상대적으로 많다. SK렌터카와 롯데렌터카는 최근 고객이 일정 기간 전기차를 운행한 이후 차량을 반납하거나 매입할 수 있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렌터카 업체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에는 군소업체를 포함해 1100여개의 렌터카 업체가 있는데,국내 시장은 업계 1위인 롯데렌터카(24.8%)가 1강 체제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이어 AJ렌터카(11.8%)와 SK네트웍스(9.6%) 등이 2위 자리를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AJ렌터카 관계자는 “차별화된 개인 및 법인 서비스로 업계 2위를 굳건히 지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SK네트웍스는 2018년까지 렌터카 보유 대수를 10만대로 늘려 AJ렌터카를 제치고 업계 2위로 올라선다는 목표를 잡고 공격적인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주유소 네트워크, 정비사업(스피트메이트) 등과 결합해 높은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08-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