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에 이어 휘발유도 최고가 경신 ‘초읽기’…2000원 이하 주유소 사라져

경유에 이어 휘발유도 최고가 경신 ‘초읽기’…2000원 이하 주유소 사라져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6-10 10:32
수정 2022-06-10 1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의 여파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의 여파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경유에 이어 휘발유 가격도 역대 최고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서 휘발유와 경유 모두 2000원 넘는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의 여파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경유에 이어 휘발유 가격도 역대 최고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서 휘발유와 경유 모두 2000원 넘는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평균 판매 가격이 1ℓ리터당 2040원을 넘기는 등 이제 1900원대 주유소를 찾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유 가격이 연일 최고가 기록을 써나가는 가운데 휘발유 가격도 역대 최고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국 휘발유 판매 가격은 직전일보다 4.54원 오른 2053.01원을 기록했다. 이틀만에 약 10원이 올랐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3월 15일 9년 5개월 만에 2000원을 돌파한 바 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지난달 26일(2001.53원) 다시 2000원대에 진입했다.

상승 추세가 이어진다면 지난 2018년 4월 18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2062.55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경유가격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이날 전국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직전일보다 5.47원 오른 ℓ당 2049.87원을 기록했다.

국내 경유 가격은 지난달 12일 1953.29원을 찍으며 2008년 7월 16일 최고가(1947.74원)를 경신했다. 지난달 경유가격이 휘발류가격을 추월한 후 24일에는 2000.93원으로 사상 처음 2000원 선을 넘으며 연일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석유제품 수급난의 영향으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러시아산 석유제품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제재가 이어지면서 수급의 불확실성은 더 커진 상황이다.

국내 휘발유와 경유 판매가격은 올해 1월 1일 ℓ당 1623.79원, 1442.42원이었는데 5개월여 만에 각각 26.1%, 41.6% 상승했다.

서준오 서울시의원 “월계1교 보행자 안전 위한 보도확장 완료”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3월 착공한 노원구 월계1교의 보행자 안전을 위한 보도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남은 공정인 보행자 난간 교체를 9월 중으로 마무리하면 준공된다. 서 의원은 지난해 11월부터 추진해온 ‘월계1교 보행환경 개선 공사’의 핵심인 상하류측 보도확장이 완료되어 많은 노원구 주민들이 안전하게 월계1교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을 환영했다. 이번 사업은 서 의원이 주민 민원을 직접 청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와 끈질기게 협의한 끝에 이뤄진 성과다. 월계1교는 노원구 월계동과 하계동을 연결하는 생활·교통 요충지다. 인근 지하철역(하계역·월계역), 노원구민의전당, 을지병원, 월계보건소 등을 오가는 주민들이 매일 이용하지만, 기존 보도 폭이 1.4~1.5m에 불과해 전동휠체어·자전거와 보행자가 엇갈릴 때마다 충돌 위험이 컸다. 서 의원은 현장을 여러 차례 직접 찾아 주민 불편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시 재난안전실과 노원구청간 지속적인 협의로 개선책을 마련해왔다. 그 결과, 차로 폭을 일부 조정해 보도를 2.0m로 확장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서 의원은 사업 실현을 위해 2024년 서울시 예산 4억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월계1교 보행자 안전 위한 보도확장 완료”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지난달 1일부터 유류세 인하율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하는 등 안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내 유가를 잡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