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날 행사

현대모비스 제공
이규석(가운데) 현대모비스 사장이 지난 22일 경기도 용인 기술연구소에서 ‘2025 발명의 날’을 개최하고 우수 발명 직원과 조직에 포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가 최근 3년간 7500건 넘은 특허를 출원하며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전동화와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의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확보해 미래 모빌리티 주도권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2일 경기 용인 마북연구소에서 사내 발명의 날 행사를 열어 지난해 우수한 발명 실적을 거둔 연구원들과 조직에 대해 포상했다. 발명의 날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혁신을 독려하는 현대모비스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축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최근 3년간 확보한 신규 특허 7500여건 가운데 약 40%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분야”라고 말했다. 전동화와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분야 특허만 3000건이 넘는다는 설명이다.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출원한 신규 특허 2300여건 중에서도 미래 모빌리티 분야 특허는 1000건 이상이다. 디지털키 해킹 방지를 위한 차량용 스마트키 기술과 고화질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구현을 위한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급변하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특허는 시장 주도권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으로 꼽힌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단순 기술 개발을 넘어 특허 아이디어의 권리화와 사업화로 이어지는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 현대모비스는 체계적인 특허 발명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특허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발명자와 변리사, 특허 전문가의 협업 체계를 구축해 전략적 특허 출원을 밀착 지원하는 방식이다. 북미와 유럽,인도 등 해외 연구소의 경우 현지 특허 대리인을 통해 각 지역에 최적화한 특허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2조원대로 확대하며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현재 국내외 연구개발 인력은 7500여명으로, 최근 5년 사이 30% 이상 증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