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 16주 만에 하락세… 아파트 살까 말까

매매가 16주 만에 하락세… 아파트 살까 말까

입력 2013-07-15 00:00
수정 2013-07-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 10명중 7명 “현 수준 유지”

#최근 직장을 옮긴 박모(41)씨는 출퇴근 시간이 너무 길어져 이사를 생각 중이다. 그의 부부합산 연소득은 6000만원 이하. 올해 말까지 6억원이하, 85㎡ 이하 주택을 구입하면 5년 동안 양도세가 면제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아파트를 구입하려고 한다. 하지만 주택 가격이 더 떨어진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서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하는 게 맞는지 고민이다.

4·1 부동산대책 이후 위례 신도시 등 일부 지역 분양시장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에는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저렴해서 계약을 해놓고도, 향후 집값이 떨어져 ‘하우스푸어’ 신세가 될까봐 걱정하는 층도 있다.

취득세 감면 혜택이 끝나고 본격적인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아파트 가격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2~8일 전국 아파트 가격이 지난주보다 0.02%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매매가격이 약세로 돌아선 것은 16주 만이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매매시장의 하락폭이 컸다. 서울은 지난주 대비 0.11% 떨어지며 7주 연속, 수도권은 0.1% 내림폭을 보이며 6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연내 주택가격 변동 여부에 대해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신문이 설문조사한 10명 중 7명은 “현재수준 유지”, 2명은 “내릴 것”이라고 답했다. 1명만 “오를 것”이라고 했다.

매매 시점에 대해서는 각각 5명으로 나뉘었다. 함영진 부동산114 센터장은 “알짜 지역의 신규 분양물량 중에서 취득세와 양도세 등 절세 혜택을 겸할 수 있는 상품을 고를 만하다”고 말했다. 반면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실물경기 침체, 베이비부머 은퇴, 30대 구매력 약화 등으로 당분간 횡보 장세가 예상되기 때문에 서둘러 매입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7-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