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아파트 절반 이상 취득세 최고세율 내야

서초구 아파트 절반 이상 취득세 최고세율 내야

입력 2013-08-29 00:00
수정 2013-08-29 16: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억원 초과가 51.8%…3% 적용, 6억 이하는 15% 불과전국 아파트 6억원 이하 93.6%…1% 세율 적용

정부의 취득세 영구 인하 조치로 앞으로 전국의 아파트중 93% 이상이 취득세율 1%가 적용될 전망이다.

정부 전월세대책 비판기자회견 민달팽이유니온과 금융정의연대, 한국청년연대 등 시민단체 대표들이 29일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정부의 전월세대책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전월세대책 비판기자회견
민달팽이유니온과 금융정의연대, 한국청년연대 등 시민단체 대표들이 29일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정부의 전월세대책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광주광역시 등 6개 시도는 전체 아파트의 취득세율이 1%인 반면 서울 서초구는 전체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최고세율인 3%를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706만432가구의 아파트 가운데 취득세율 1%가 적용되는 6억원 이하는 661만1천293가구로 전체의 93.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 세율이 적용되는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구간의 아파트는 30만4천882가구로 전체의 4.3%였고, 3% 세율이 부과되는 9억원 초과는 14만4천257가구로 2%였다.

전체 아파트가 6억원 이하인 시·도는 광주광역시(25만7천208가구), 강원(16만8천535가구), 경북(26만6천577가구), 전남(11만6천575가구), 전북(22만7천493가구), 제주(2만2천3가구) 등 6개로 이들 지역은 모든 아파트가 취득세율 1%를 적용받는다.

충북(99.9%), 경남·세종시(99.8%), 충남(99.7%) 등 다른 지방 도시의 아파트들도 6억원 이하가 대부분이어서 취득세 1%가 부과될 전망이다.

그러나 고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의 경우 세율 1% 적용 대상인 6억원 이하는 93만9천446가구로 서울 전체의 73.5%에 그쳤다.

서울 전체 아파트중 세율 2%가 적용되는 6억원 초과~9억원 이하는 16.4%(20만9천430가구), 세율 3%가 부과되는 9억원 초과는 10.1%(12만8천848가구)다.

특히 서초구는 6억원 이하 주택이 15.5%(1만1천477가구)에 불과해 이번 영구 인하 조치의 수혜 대상이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초구는 9억원 초과 아파트가 51.8%인 3만8천784가구로 구 전체 절반 이상의 아파트가 취득세 최고 세율인 3%를 부담해야 한다. 2%가 부과되는 6억~9억원 이하도 2만4천487가구로 32.7%나 돼 이번 취득세 영구 인하 조치로 인한 타격이 컸다.

서초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지난 6월말까지 진행된 한시감면에서 12억원 이하면 1~2%가 적용돼 취득세 부담이 적었는데 앞으로는 절반 이상의 아파트가 3%의 세금을 내야 해 입주민들의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6억원 이하 비중이 두 번째로 적은 강남구도 전체의 20.9%(2만1천287가구)만 1% 세율이 적용된다.

강남구의 9억원 초과 아파트는 전체 가구의 40.8%(4만1천482가구)로 역시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6억~9억원 이하는 38.3%(3만8천952가구)였다.

서울에서 6억원 이하 비중이 가장 높은 구는 금천구로 99.6%(2만337가구)였고 중랑구 99.2%(3만6천783가구), 도봉구 98.3%(5만9천967가구) 등의 순이다.

경기도는 6억원 이하 비중이 95.7%(193만6천33가구), 인천광역시는 98.4%(46만4천373가구)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