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3월 기준 주택종합 전월세 전환율은 6.9%으로 법정 상한선 6%보다 0.9%포인트 높았다. 서울(6.9%)과 지방(7%)도 법정 상한선을 웃돈다.
특히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는 중소형 주택일수록 전월세 전환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아파트의 전월세 전환율은 5.5%로 중소형과 중대형 아파트의 전월세 전환율 4.6%보다 높았다. 연립·다세대주택과 단독주택도 30㎡ 이하의 전월세 전환율이 각각 8.7%와 10.4%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금의 일부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을 말한다. 월세로 얻는 연간 임대료 총액을 전세금에서 월세보증금을 뺀 금액으로 나눠 산출된다. 예를 들어 전세금이 1억 원인 주택에 대해 임대인이 보증금 5000만 원에 월세 30만 원으로 계약을 전환할 경우, 전월세 전환율은 7.2%가 된다. 임대인 입장에서 전월세 전환율은 임대 수입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임차인 입장에서는 내가 내고 있는 임대료의 적정선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셈이다.
한화건설이 공급하는 ‘김포 풍무 꿈에그린 유로메트로’는 전월세 전환율이 5%로 수요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낮춘 곳이다. 또한 2년간 임대료 금액을 제외한 보증금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계약금은 1000만원 정액제로 실시한다. 전용 84㎡ 기준 3000만원대부터 입주가 가능하며 기준층의 경우도 4000만원대에 입주할 수 있어 수요자들의 꾸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높은 전월세 전환율에 서민들 주거난 심화되고 있다. 김포 풍무 꿈에그린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높은 전월세 전환율에 서민들 주거난 심화되고 있다. 김포 풍무 꿈에그린 제공.
입주 2년차 신규단지인 이 아파트는 지하 2층, 지상 10~23층, 26개 동 규모이며 전용면적 기준 84, 101, 117㎡ 총 1,810가구의 대단지다. 단지 내부는 조경율이 43%에 달하며 외부는 대규모 근린공원(6만 8000여㎡)로 둘러싸여 있다. 유현초등학교, 풍무중학교가 단지 앞에 바로 위치하고 있어 교육 여건도 우수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