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말 현재 56만 3237건
경북 38% 광주 37%로 감소 폭 커서울 전세 거래량도 8.3% 급감
주택 거래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7월 주택 거래량이 56만 3237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9%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거래량 감소는 지방에서 눈에 띄게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한 반면 지방은 25.3% 줄었다. 특히 지방 광역시 주택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대구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3.7%나 감소해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북(37.8%), 광주(36.6%), 울산(35.3%) 등도 감소폭이 컸다.
재건축 대상 아파트를 중심으로 투자 거래가 많은 서울에서는 주택 거래량이 14.5% 줄어드는 데 그쳤고, 새 아파트 입주가 많았던 세종시에서는 30.8%나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27.5%, 연립·다세대는 8.3%, 단독·다가구는 10.8% 감소했다.
다만 7월 한 달만 보면 9만 5578건으로 지난해(11만 675건)보다 13.6% 감소했지만 최근 5년 평균(7만 1000여건)보다는 33.8% 증가했다. 비수기로 분류되는 7월에 주택 거래가 예년보다 많은 것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재건축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퍼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세 거래량도 1~7월 누계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4.0% 감소했다. 특히 지방보다 서울 전세 거래량이 급감했다. 서울 지역 전세 거래량은 8.3% 줄어든 반면 지방 전세 거래량은 0.2% 감소에 그쳤다.
주택 전월세 거래량 가운데 월세 비중은 45.9%로 지난해보다 2.2% 포인트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월세 비중이 40.5%, 아파트 외 주택의 월세 비중은 50.3%로 각각 3.1% 포인트, 1.5% 포인트씩 증가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8-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