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역대 최저, 전월세 거래량은 역대 최대를 각각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 등의 여파로 거래 절벽이 현실화되면서 주택 수요가 전월세로 몰리는 쏠림 현상이 빚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신고일 기준(거래일로부터 60일 이내)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4만 3444건으로 1년 전 같은 달(6만 9679건)보다 37.7%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1월 이후 2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저 수준이자 2013년 1월(2만 7070건) 이후 6년 1개월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특히 서울의 경우 4552건으로 지난해 2월(1만 7685건)보다 무려 74.3%가 급감했으며 전월(6040건)과 비교해도 24.6% 줄어든 것이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54.6% 감소한 반면 지방은 14.0% 줄어드는 데 그쳤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42.7%나 줄어 감소세를 주도했다.
반면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은 18만 7140건으로 1년 전(16만 4237건)에 비해 13.9% 증가했다. 국토부가 2011년 1월부터 전월세 실거래가 공개를 시작한 이후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종전 최고치인 지난해 3월(17만 8224건)보다도 5.0% 많았다. 서울은 6만 2252건으로, 지난해 2월(5만 3159건)보다 17.1%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8만 8235건)이 14.3%,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 거래량(9만 8905건)은 13.6% 각각 늘어났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3-2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