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거래량·입주물량 감소 뚜렷

주택 거래량·입주물량 감소 뚜렷

류찬희 기자
입력 2021-12-03 10:15
수정 2021-12-03 1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값 폭등, 대출규제, 금리인상이 거래 묶어

집값 폭등, 주택 담보대출 규제,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입주 물량도 줄어들어 전세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일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전국 주택 매매 건수는 89만 세 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량과 비교하면 12.5% 감소했다. 서울 매매량은 11만 26000여 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5.6% 쪼그라들었다. 수도권 전체로는 19.9% 감소해 거래절벽이 지방보다 서울·수도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일반 주택보다 거래량 감소 폭이 컸다. 아파트 거래량은 59만 7000여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1% 감소했다. 반면 아파트 외의 주택 거래량은 4.6% 증가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10월까지 전·월세 거래량은 194만 3200여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났다. 5년 평균 전·월세 거래량은 24.6% 증가했다. 임대차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은 43.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포인트 증가했다.

1∼10월 전국 주택 준공(입주) 물량은 32만 322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7.1% 감소했다. 이 중 수도권은 19만 841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7.7% 줄었고, 지방은 13만 2388가구로 27.8%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24만 3629가구)는 1년 전보다 21.7%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7만 9600가구)은 0.6% 늘었다.

수요가 많은 아파트 물량이 줄어들어 전세난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7.2% 쪼그라들었다. 입주 물량 감소는 3~4년 전에 신규 주택 인허가 물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편, 10월 말 현재 인허가 물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4% 증가했다. 서울 주택 인허가 물량은 4만 5625가구로 전년 대비 54.7%나 증가했다. 최근 5년 평균 서울 인허가 물량과 비교해도 19.6% 늘어난 물량이다. 인허가 물량은 3~4년 뒤 주택 입주물량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주택 수급 지표로 사용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